'축구 쿠웨이트전 몰수승' 예전에는 몰수승이 없었을까?

쿠웨이트의 징계로 인해 몰수승을 거둔 '슈틸리케호'. (사진=대한축구협회 제공)
국제축구연맹(FIFA)은 7일 쿠웨이트축구협회의 자격 정지 징계로 열리지 않았던 한국-쿠웨이트의 2018년 러시아 월드컵 아시아 지역 2차예선 8차전(3월29일)을 한국의 몰수승으로 결정했다.

공식기록은 한국의 3-0 승리.

축구대표팀이 처음 출범한 것은 1948년. 그렇다면 68년이라는 세월이 흐르는 동안 몰수승 기록은 있었을까.

대한축구협회에 따르면 쿠웨이트전 몰수승이 최초다.


최초의 몰수승 덕분에 '슈틸리케호'의 연속 경기 무실점 승리 기록도 늘어났다. 이미 3월27일 태국과 친선전 1-0 승리로 8경기 연속 무실점 승리 기록을 세운 '슈틸리케호'는 쿠웨이트전 몰수승으로 기록을 9경기로 늘렸다. 연속 무실점 기록도 10경기가 됐다. 단 출전 선수도, 득점 선수도 없는 경기다.

몰수패는 한 차례 당한 경력이 있다. 1960년 4월30일 대만에서 열린 로마 올림픽 아시아 예선 대만전이었다. 0-1로 뒤진 상황에서 심판이 페널티킥을 선언하자 계속된 편파 판정에 흥분한 선수들이 심판을 폭행했다. 결국 경기는 중단됐고, 며칠 뒤 FIFA는 한국의 몰수패를 선언했다.

몰수무 경기도 있었다.

1987년 6월10일 경남 마산에서 열린 대통령배 국제축구대회. 한국과 이집트의 경기 때 '6월 항쟁'에 나선 학생과 시민들이 경기장 주변에서 시위를 벌였고, 경찰도 최루탄을 발사하며 응수했다. 최루탄 연기가 축구장 안으로 들어왔고, 선수와 심판, 관중 모두 대피해야 했다. 결국 전반 29분 경기가 중단됐고, 몰수 경기 선언과 함께 0-0 무승부로 처리됐다.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