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분한 기조를 유지해야 결집이 우려되는 야권 지지층을 자극하지 않고, 투표율이 높아지는 상황도 피할 수 있다는 판단에서다.
특히 ‘바람’을 불러일으킬 수 있는 야권연대 혹은 후보단일화 등이 제한적일 것으로 예상하면서 가급적 구도의 고착화를 모색하는 기류가 감지된다.
◇ 19대와 비교하면 ‘조용한 선거’
20대 총선을 19대와 공식선거운동 개시 시점을 기준으로 비교하면 ‘조용하다’는 평가가 지배적이다.
2012년 당시에는 민주통합당과 통합진보당이 선거를 한 달 앞둔 3월 초순에 이미 야권연대에 합의했다. 새누리당은 선거 초반부터 색깔론을 제기하며 공세의 수위를 끌어올렸다.
선거대책위 차원에서 “민주당이 ‘종북(從北)’ 세력인 통진당과 합치기 위해 ‘한‧미 FTA 폐기’, ‘제주 해군기지 백지화’ 등으로 입장을 바꿨다”는 식의 논평이 쏟아졌다. 야권은 ‘MB심판론’과 같은 정권 심판 이슈로 맞불을 놓았다. ‘이명박근혜’라는 신조어도 만들어졌다.
하지만 선거운동 이틀째인 1일 현재까지 여야가 거세게 맞붙는 ‘메가 이슈’는 눈에 띄지 않는다. 새누리당 김무성 대표가 “발목을 잡고 있다”고, 더불어민주당 김종인 비대위 대표가 “여당 과반을 막아야 여권 8년의 경제 실정을 막는다”고 각각 경제 이슈에 치중하고 있을 따름이다.
새누리당 선대위 관계자는 “공중전을 펼칠 소재가 보이지 않는다”며 “야권을 자극해봐야 젊은층 결집만 부를 수 있어 자제하고 있기도 하다”고 털어놨다.
◇ 野 ‘분열’ 호재 속 ‘몸 사리는’ 與
야권연대가 성사되기 힘들 것이란 기대감도 여당을 숨죽이게 하고 있다.
다른 선대위 관계자는 CBS노컷뉴스와의 통화에서 “과반(151석) 의석이면 성공, 160석 이상이면 대성공”이라며 목표치를 내세웠다. 이 관계자는 “다야(多野) 구도라고는 해도 국민의당의 당 지지율에 비해 후보자 개인 지지도가 낮아 사실상 더민주와의 양자 구도”라고 주장했다.
그러나 당 안팎에서는 국회선진화법 무력화 기준 의석인 ‘180석’에서 한참 후퇴한 최근의 목표치에 대해 “엄살에 가깝다”는 말이 흘러나온다.
야권단일화의 파급력이 제한적일 것으로 내다보고 내심 목표치를 높게 잡고 있으면서도 역풍을 우려해 쉬쉬하고 있다는 것이다.
실제 선대위 자체적으로 야권단일화가 성사됐거나 논의 중인 지역구를 28개로 집계하고, 가능한 단일화의 최대치를 ‘30~40개’ 수준으로 보고 있다.
단일화 효과가 제한적일 수밖에 없어 수도권과 충청의 약진을 예상하고 있지만, 최종적 ‘압승’을 위해 입을 다물고 있다는 얘기다.
◇ '투표용지 인쇄' 기점 공세로 전환?
새누리당의 조용한 선거 모드는 오는 4일 강공으로 선회될 가능성이 있다. 야권연대의 시한으로 투표용지 인쇄 시작 전날인 3일이 거론되고 있는 상황과도 맞물린다.
인쇄 이후에는 단일화가 성사돼도 용지에 '사퇴'라고 표기할 수 없기 때문에 사표(死票)가 속출할 수 있다. 총선까지 열흘이 채 안 남게 돼 단일화의 효과도 그만큼 상쇄된다.
하지만 초반 우세가 굳어질 경우 구태여 여야 간 대결 구도를 만들지 않고, 각 지역구 후보 개개인을 부각시키는 '인물론' 위주의 전략을 펼 것이란 전망도 나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