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총재는 취임 2주년을 맞아 30일 한은 출입기자단과 가진 오찬 간담회에서 새누리당이 발표한 한국판 양적완화 공약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느냐는 질문에 "새누리당의 공약은 한국은행이 구조조정, 가계부채 등의 문제를 해결하는데 보다 적극적인 역할을 해달라는 취지로 이해하고 있다"고 답했다.
그러면서 "중앙은행이 특정 정당의 공약에 대해 구체적으로 언급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다고 생각한다"며 "다만, 한국은행도 우리 경제의 활력은 회복하도록 하고 구조조정을 뒷받침하는데 나름대로 최선을 다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이 총재는 앞서 인사말에서 "주요 선진국 중앙은행들이 양적완화 정책이나 마이너스 금리 정책을 시행하는 것을 보면서 한국은행도 완화기조를 과감하게 확대해야 한다는 주장이 적지 않다"며 "그러나 한국은행은 우리의 경제상황이 여러 가지 면에서 이들 선진국과 다르다는 점을 고려하면서 정책을 운영해 왔다"고 설명했다.
이 총재는 “우선 우리 경제의 성장률과 물가상승률은 이들 국가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수준이기 때문에 경제상황에 부합되는 기준금리 수준에 차이가 있을 수밖에 없으며, 따라서 표면적으로는 통화정책의 완화정도가 덜하다고 해서 우리의 통화정책이 경제의 회복세를 제약하는 것은 아니라고 판단했다”고 부연했다.
“또한 우리나라는 기축통화인 이들 국가와는 달리 정책기조 완화에 따르는 자본유출 위험을 고려해야 하며 특히 지난 1,2월처럼 국제금융시장이 매우 불안할 때는 더더욱 그럴 수밖에 없다”고 강조했다.
이 총재는 "지난해 말 이후 하락세를 이어오던 소비자심리지수가 3월에는 소폭이지만 상승했고, 수출 감소세도 2월 이후 소폭이지만 축소되면서 향후 경기상황에 대한 우려도 다소 완화된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며 "그러나 대내외 여건을 종합적으로 고려해볼 때 올해 성장률은 연초에 전망했던 3%를 다소 하회할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경기부양과 관련해서는 “주요 선진국의 예에서 보듯이 통화정책과 재정정책만으로는 저성장.저물가 기조에서 벗어나는 데 한계가 있기 때문에 구조개혁과 경쟁력 향상을 위한 노력이 강화돼야 한다고 생각한다”며 “지난달 상하이에서 개최된 G20회의에서도 성장세 회복을 위해서는 통화정책, 재정정책 그리고 구조개혁의 3박자가 상호보완적으로 함께 시행돼야 한다는 점을 성명서에 명시했다”고 설명했다.
최근 새 금융통화위원으로 추천된 4명의 후보가 비둘기(완화적 통화정책) 성향이 강하다는 지적에 대해 이 총재는 “지금까지 금통위원들은 의사 결정을 할 때 추천기관과는 관계없이 이루어졌고 또 경제상황에 대한 view(견해)도 상황에 따라 바뀌는 것으로 알고 있다”며 “과거의 발언과 추천기관만을 갖고 정책 성향을 추측하는 것은 유의해야 한다”고 답했다.
이 총재는 “최근의 물가흐름을 감안해 볼 때 (올해부터 도입된 물가안정목표제의 설명 의무) 7월에 설명책임을 이행해야 할 가능성이 있다”며 “그럴 상황이 발생한다면 여러 가지 방법이 있겠지만 보도자료도 배포하고 기자간담회 개최 등을 통해 설명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