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 1인당 국민소득 2만7천달러…금융위기 이후 첫 감소(종합)

서울 세종로 광화문 네거리 출근하는 시민들
지난해 우리나라 1인당 국민총소득(GNI)은 2만7천달러로 글로벌금융위기 이후 처음으로 감소했다.

실질 국내총생산(GDP)도 2.6% 성장해 전년(3.3%)보다 크게 둔화됐다.

한국은행이 25일 발표한 ''2015년 국민계정(잠정)'에 따르면 지난해 1인당 GNI는 2만7천340달러(3천93만5천원)로 전년의 2만8천180달러(2천968만원)보다 840달러(2.6%) 감소했다. 1인당 GNI가 줄어든 것은 글로벌 금융위기 때인 지난 2009년 이후 6년만에 처음이다. 


원화로는 4.6% 증가했지만 원.달러 환율 상승으로 달러화 기준으로 감소한 것.  지난해 원화 가치는 달러화 대비 연평균 7.45% 절하됐다.

개인의 구매력을 보여주는 가계총처분가능소득(PGDI)도 1만5천524 달러로 전년(1만5천786달러)보다 2.5% 감소했다.

그러나 실질 국민총소득(GNI)은 전년대비 6.5% 증가해 전년의 3.4%보다 크게 높아졌다.

실질 GNI는 물가 변동을 반영한 국민소득의 실질 구매력을 나타내는 지표로, 이 수치가 높아진 것은 지난해 수출총액으로 수입할 수 있는 상품의 양을 의미하는 소득교역조건이 호전됐기 때문이다.

지난해 국내총생산(명목GDP)은 1,558조6천억원으로 전년보다 4.9% 늘었다. 미국 달러화 기준으로는 환율 상승의 영향으로 전년보다 2.4% 감소한 1조 3천775억달러를 기록했다.  

전분기 대비 분기 실질 성장률은 작년 1분기 0.8%에서 2분기 0.4%, 3분기 1.2%, 4분기 0.7% 성장했다. 2분기와 4분기 성장률은 속보치보다 0.1%포인트 높아졌고, 3분기 성장률은 0.1%포인트 낮아졌다.  

산업별로는 건설업이 3% 늘어나 전년(0.8%)보다 크게 증가했다. 건물건설은 분양시장 호조에 따라 주거용 건물건설의 증가세가 확대되면서 전년대비 7.0% 증가했고, 토목건설은 산업플랜트, 전력시설 등을 중심으로 2.9% 감소했다.

제조업은 1.3% 증가해 전년(3.5%)보다 둔화됐다. 석유제품 등의 증가세는 확대됐으나 전기 및 전자기기 등의 증가세가 둔화됐기 때문이다.

서비스업도 2.8% 늘어나 전년(3.3%)보다 둔화됐다. 도매 및 소매업, 금융 및 보험업 등은 증가세가 확대됐으나 음식 및 숙박업은 감소로 전환됐다.

지난해 최종소비지출은 2.4% 늘어나 전년(2.0%)보다 증가폭이 조금 축소됐다.

준내구재와 서비스 소비가 부진하였으나 내구재 소비는 전년대비 2.2% 증가했다.

지난해 총저축률은 35.4%로 전년(34.5)보다 0.9%포인트 올랐다. 가계 순저축률은 7.7%로 전년(6.3%)보다 1.4%포인트 상승했다.

실시간 랭킹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