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능한 가장 센 강공을 폈기 때문에 친박계의 강한 반발을 살 것으로 보인다. 특히 23일 출마 선언에서 지난해 7월 원내대표에서 사퇴하며 인용했던 헌법 1조 2항을 다시 거론한 점이 도마에 오를 것으로 보인다.
당시 유 의원이 자신을 ‘배신의 정치’로 규정했던 박근혜 대통령과 친박계를 ‘위헌 세력’으로 몰아세웠던 점이 낙천의 핵심 사유였다는 점을 감안하면 재차 같은 공격을 여권 핵심부에 가한 셈이다.
결국 원내대표직에서 강제로 끌어내려진 것과 공천에서 배제된 것은 같은 원인에 의한 것으로 유 의원의 출마 명분이 됐다. 대구 동을에 국한해선 4‧13 총선의 의미가 유 의원과 박 대통령의 대결이 됐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기도 하다.
이는 2005년 비례대표 ‘배지’를 던지고 현재 지역구에 와 박 대통령의 지원사격을 받았던 유 의원의 개인사를 감안했을 때도 의미가 적지 않다.
박 대통령과의 대결에서 승리하면 유 의원으로선 그간 떠안고 있던 모든 정치적 부채를 청산하게 된다.
게다가 지원세력의 화력도 여의치 않다. 친유승계로 분류되는 의원 중 유 의원과 같은 탈당의 길을 걸어간 의원은 3명밖에 안 된다. 조해진(재선, 경남 밀양‧의령‧함안‧창녕) 의원이 있고, 대구에서는 류성걸(초선‧동갑), 권은희(초선‧북갑) 의원 두 명뿐이다.
유 의원의 핵심 측근이라고 할 수 있는 이종훈(초선‧경기 분당갑), 김희국(초선‧대구 중남) 의원 등은 컷오프(공천배제)에도 불구하고 탈당하지 않았다.
범(凡) 비박계의 ‘연대’로 이재오(5선‧서울 은평을), 주호영(3선‧대구 수성을) 의원 등을 상정할 수 있지만, 이 의원은 옛 친이명박계이고 주 의원은 유 의원과의 ‘연관성’을 한사코 거부하고 있다.
때문에 2008년 박 대통령이 구심점이 됐던 친박연대와 같은 바람은 기대하기 힘들게 됐다는 전망이 지배적이다. 당초 유 의원의 무소속 출마 전망이 처음 나왔을 때부터 비박연대의 성공 가능성은 친박연대의 전례와 비교됐었다.
유 의원이 출마로 달성할 '목표’에 대해 “제가 희생된 동지들과 함께 당으로 돌아와서 보수개혁의 꿈을 꼭 이룰 수 있도록 해달라”고 제시했지만, ‘홀로서기’의 길은 순탄치 않아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