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순원 금통위원 "경기침체에 통화정책 대응만으론 한계"

정순원 금통위원은 “유럽과 일본의 최근 사례를 통해 알 수 있듯이, 구조적 문제에서 야기된 경기침체에 통화정책만으로 대응하는 데는 분명 한계가 있다”고 말했다.

정 위원은 23일 한국은행 출입기자들과의 오찬 간담회에서 이 같이 지적하고 “과거에 경험하지 못한 경제 환경 속에서 세계경제가 견조한 성장궤도로 재진입하기 위해서는 선진국, 후진국할 것 없이 단기적인 경기회복 정책과 함께 보다 장기적으로 생산성 향상 등을 통해 성잠잠재력을 확충해 나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를 위해서는 통화정책 등을 통한 수요회복 정책과 함께 금융선진화 등 공급개선을 동시에 추진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정위원은 “향후 10년간 글로벌 산업지형을 전망해 보면 디지털 경제로의 이행이 가속화되면서 기존의 교역재 시장은 위축되고 서비스업 등 비교역재 시장의 중요성이 더욱 부각될 것”이라며 “우리나라도 구조개혁과 규제완화 등을 통해 서비스업 및 첨단 산업을 육성하는 등 성장모멘텀 발굴에 더욱 박차를 가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정위원은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10년 가까운 기간에 대규모의 완화적인 거시경제정책으로 새로운 불균형이 축적되기도 하였지만 더 크게 보면 주요 선진국 및 신흥국을 중심으로 거시경제적 조정이 일어나고 있다고 생각한다”며 “최근 금융시장 내 변동성의 확대, 전 세계적인 성장세 둔화, 원자재가격 하락 등도 그 결과”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다행히 세계경제가 조금씩 안정을 찾아가고 있는 것으로 보이지만 조정 과정의 마무리를 확신하기 위해서는 유효 수요 회복과 생산성 향상을 통한 잠재 성장경로의 회복 여부를 확인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추천기사

실시간 랭킹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