앞으로 두 달여. 주자들의 행보가 치열해질 수밖에 없다. 예단은 금물이다. 특히나 정치에서는. 하지만 과거를 통해 미래를 점쳐볼 수 있지는 않을까. 대전·세종·충남 17개 지역구의 지난 선택들을 살펴봤다. [편집자 주]
공주는 더불어민주당의 박수현 의원이, 부여-청양은 새누리당 이완구 전 국무총리가 현역이다.
박 의원은 더민주당 비대위원장 비서실장으로 활발한 활동을 벌이고 있는 반면 이 전 총리는 이른바 '성완종 리스트'와 관련해 최근 법원으로부터 유죄 판결을 받고 20대 총선 불출마를 선언했다.
두 현역의 엇갈리는 행보인데, 이 같은 이유에서인지 현재 두 지역구에 등록한 예비후보 4명은 모두 새누리당 소속이다.
공주는 정연상 새누리당 중앙당 국장과 정진석 전 청와대 정무수석이 공천 다툼을 벌이고 있고 부여-청양은 박남신 국민생활체육전국승마연합회 회장과 홍표근 전 박근혜 대통령 후보 중앙선대위 공동여성본부장이 본선 진출을 위한 경쟁을 벌이고 있다.
선거구 획정에서 두 지역구가 통합될 경우, 이들 4명의 후보 가운데 한 명만이 공천권을 획득하게 되는데, 이 같은 이유에 따라 각 지역의 예비후보들은 자신의 지역구 뿐 아니라 이웃 지역구 유권자들에게도 많은 공을 들이고 있고, 또 이 과정에서 각종 잡음도 발생하고 있다.
최근 공주의 정진석 후보가 부여군 외산면 이장단 회의가 끝난 뒤 식사 자리에 참석한 것을 두고 벌어진 선거법 위반 논란이 대표적이다.
더민주당 박수현 현 의원의 무혈 공천이 유력한 가운데, 이들 새누리당 예비 후보 4명 가운데 누가 박 의원의 대항마로 본선에 나설 수 있을지가 주목된다.
그렇다면 이들 지역의 과거 '본선' 선택은 어땠을까.
세종시에 흡수된 연기군과 같은 선거구였던 공주의 경우 2000년 이 후 보궐을 포함해 모두 5번의 국회의원 선거가 치러졌는데, 유권자들은 16대 자민련 정진석, 17대 열린우리 오시덕, 18대 자유선진 심대평, 19대 민주통합 박수현 의원의 손을 잡아줬다.
17대 오 전 의원이 의원직을 상실하면서 치러진 보궐에서는 무소속 정진석 후보가 당선됐다.
지역 기반 정당과 이른바 진보 정당에 보다 많은 애정을 보여준 것인데, 17대 보궐에서 승리한 정 전 의원이 국민중심당 창당에 관여했다가 이 후 한나라당으로 당적을 옯겨 18대에서 비례대표로 활동한 점은 참고할 만하다.
부여-청양 역시 보궐을 포함해 2000년 이 후 모두 5번의 국회의원 선거가 치러졌는데, 유권자들은 부여 단독 선거구였던 16대 자민련 김학원, 부여.청양이 통합된 17대 자민련 김학원, 18대 자유선진당 이진삼, 19대 새누리 김근태, 19대 보궐 새누리 이완구의 손을 들어줬다. 지역 기반 정당과 보수 정당에 대한 애정이 보다 깊었다.
이를 바탕으로 보면 공주는 지역+진보 정당이 우세를 보여왔고, 부여-청양은 지역+보수 정당이 강세를 보여왔다. 지역 정당이 사라진 20대 총선에서 두 지역구가 통합될 경우 공주 지역 유권자가 상대적으로 많다고는 하지만, 진보와 보수간 치열한 승부는 어쩔 수 없어 보인다.
지역 정당을 중심으로 진보와 보수에 대한 엇갈린 애정을 보여준 두 지역구가 통합될 경우, 어떤 결론이 도출될지, 가장 핫한 지역구 '공주·부여·청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