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 비대위원장은 31일 오전 광주 5.18민주묘역을 참배한 후 "오늘 와서 보니 마음이 굉장히 우울하다"며 "5.18 당시에 일어난 사태에 대해 '저런 방법밖에 없나' 하고 제가 참 개탄했던 사람인데 여기와서 보니 조금전에 저를 향해 이야기하는 것도 제가 아주 경청했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국보위 참여에 대해 "사유야 어떻든 간에 그와같이 정권을 쟁취한 그런 데 참여를 했던데 대해 광주의 상황을 와서 보니 어느정도 제가 사죄의 말씀을 드려야 되겠다는 마음이 저절로 생겨난다"고 전했다.
그러면서 "광주에서 일어난 민주화 정신이 우리나라 국민의 역동성이라 생각하고 이게 기초돼서 6.10항쟁으로 이어졌고 한국의 정치 민주화가 이뤄졌다고 생각한다"며 "앞으로 우리나라 정치 민주화가 현수준에서 만족하냐, 저는 절대 안그렇다고 생각한다. 거룩한 이분들의 뜻을 받들어서 보다 많은 민주주의가 이나라에서 이뤄질수 있도록 더불어민주당과 함께 최선을 다할 각오를 바친다"고 했다.
김 위원장은 윤상원·박기순 열사 묘 앞에서 무릎을 꿇고 사죄하기도 했다. 이 두 열사는 민주화 운동의 상징인 '임을 위한 행진곡'의 탄생의 배경이기도 하다.
앞서 김 위원장은 전날 5월 단체장들을 만나서도 직접 사과의 뜻을 전하기도 했다.
김 위원장은 차명석 5·18기념재단 이사장, 정춘식 유족회장, 양희승 구속부상자회장, 김후식 민주화운동부상자회장 등 5월 단체장과 만나 만찬을 한 자리에서 "계엄사령부의 광주 탄압에 절대로, 조금이라도 찬동하지 않는다"고 말했다.
이어 "전문성이라는 것 때문에 국보위에 참여했던 것이고, 스스로 들어간 것이 결코 아니라 차출되다시피 들어가 나라를 위해 일을 했다 하더라도 국보위에 참여한 것에 진심으로 사과드린다"고 밝혔다.
그는 호남 민심이 흔들린데 대해선 "지금 호남 시민들이 심정적으로 혼란을 갖고 있지만 당이 제대로 혁신에 수권태세를 갖춘다면 광주 호남시민들은 다시 한번 함께해서 해보자는 그런 분위기 조성되리라 믿는다"고 기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