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 4분기 성장률은 0.6%로 집계돼 1분기만에 분기성장률이 다시 0%대로 떨어졌다.
2012년 2.3% 이후 3년 만에 가장 낮은 수준이다. 2013년 2.9%에 이어 2014년 3.3%를 기록한지 1년만에 다시 2%대로 추락하면서 2%대 저성장이 고착화됐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지난해 성장률 2.6%는 2014년 한은이 경제전망보고서에서 예측한 4%는 물론 잠재성장률(3~3.2%)에도 크게 못미친다.
분기별로는 1분기 0.8%, 2분기 0.3%, 3분기 1.3% 성장했고 4분기는 0.6%였다.
분기성장률은 지난 2014년 1분기 1.1%에서 세월호 참사가 발생한 2분기 0.5%로 떨어진 뒤 5분기 연속 0%대를 벗어나지 못했다. 이어 3분기에는 코리아 블랙프라이데이 등 정부의 소비진작 정책에 힘입어 1.3%로 크게 높아졌다 1분기 만에 다시 0%대로 주저앉았다.
지난해 민간소비는 2.1% 늘어 2011년 이후 4년 만에 2%대로 올라섰다. 정부소비도 3.3% 증가했다. 건설투자는 4.0% 늘어나 2014년 1.0%보다 높아졌다.
반면 제조업은 연간 성장률이 1.4%에 그쳐 2014년 4.0%보다 큰 폭으로 떨어졌고, 수출은 0.4% 증가에 그쳤다. 순수출의 성장기여도는 -1.2%였다.
지난해 실질 국내총소득(GDI) 증가율은 전년의 3.7%보다 크게 높은 6.4%를 기록했다. 유가하락 등으로 교역조건이 개선된 결과다.
한편, 작년 4분기 성장률을 부문별로 보면 민간소비가 전기보다 1.5% 늘어 3분기(1.2%)보다 증가폭이 커졌다.
정부의 개별소비세 인하와 코리아 블랙프라이데이 등 소비확대 정책의 영향이 컸던 것으로 분석된다.
반면 건설투자 증가율은 3분기 5.0%에서 4분기 -6.1%로 급락했다. 2014년 4분기 -7.8% 이후 4분기 만에 가장 낮았다. 주택거래가 큰 폭 감소하면서 부동산 경기가 나빠진 영향이 크다. 수출은 전분기보다 2.1% 늘었고 수입은 2.8% 증가했다.
제조활동별로는 4분기 제조업이 석유 및 화학제품, 반도체 등을 중심으로 0.6% 성장해 전분기 0.1%보다 높아졌고 서비스업도 0.8% 성장했다. 반면 농림어업은 1.4% 감소했고 건설업도 -0.4%에 그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