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러나 현재를 살아가는 우리는 고조선에 대해 얼마나 알고 있을까.
서기전 2333년에 단군왕검이 건국했다고 『삼국유사』 등의 사료에 나와 있는 고대 국가이고 한사군의 설치로 기원전 108년에 멸망했다는 정도가 전부 아닐까.
심지어 역사가 아니라 신화로 보는 시각까지 존재한다.
그러나 여기, 2천 년이 넘는 긴 세월 동안 존재했던, 우리 역사의 뿌리인 고대 국가 고조선을 문헌 사료를 통해 고증 복원하여 한국 고대사 연구의 새로운 지평을 열어젖힌 학자가 있다.
단국대 명예교수 윤내현이 바로 그다.
1980년대에 하버드대학에 갔다가 발견한 고조선 관련 중국과 북한의 방대한 자료는 한 영민한 학자의 역사관을 뒤흔들고 한국 고대사의 그릇된 고정관점을 뒤흔들기에 충분했다.
고조선이라는 고대의 제국이 실존했음을 말없이 증언하는 문헌 사료를 펼쳐보고 전율한 학자는 중국과 러시아, 북한의 자료를 토대로 한민족 최초의 고대 국가의 존재와 우리 민족의 뿌리를 증명하는 대대적인 연구, 집필 작업을 시작했다.
그 결과물을 집대성한 책이 한국 고대사 분야의 불후의 명저로 일컬어지는 『고조선 연구』였다.
1990년대에 출간되어 고대사에 대한 정보에 목말라하던 독자들의 뜨거운 호응과 고대사 학계에서 격렬한 논란을 함께 불러일으켰던 『고조선 연구』가 새로이 단장하고 21세기 새로운 독자들을 만날 채비를 마쳤다.
개정판 『고조선 연구』는 현대적인 감각으로 재편집하여 상·하, 두 권으로 나뉘었으며 이번에 출간된 하권은 '각론'과 '총결'로 구성되어 상권의 '서장'과 '총론'에 이어 방대한 고조선 연구에 마침내 거대한 종지부를 찍는다.
고대 조선의 지리와 개념과 고조선의 건국과 민족 형성, 고조선의 강역과 국경, 고조선의 연대와 중심지, 한사군의 위치 등을 논했던 상권에 이어 하권에서는 고조선의 구조와 정치, 경제와 생산, 사회와 풍속, 문화와 과학, 대외관계 순으로 논지를 전개한다.
그야말로 '고조선의 모든 것'을 망라한 방대한 내용이 아닐 수 없다.
고조선을 심도 깊게 연구하여 한국 고대사 연구의 새로운 지평을 연 역사학자답게 상권 '머리말'에서 "한국사에서 고조선(단군조선)만큼 시련을 많이 겪은 부분은 없을 것이다"라며 고조선에 대한 후세의 홀대에 깊은 우려를 표명하며 말문을 열었다.
대단원의 막을 내리는 하권 '총결'에서는 "자료의 증가는 앞으로도 계속될 전망이므로 새로운 연구 결과도 계속 나올 것이다"라는 희망적인 언사로 고조선 연구에 대한 후학들의 대범하고 끊임없는 도전을 기대하고, 주문한다.
『고조선 연구』는 살아 숨 쉬는 고조선, 잊혀지고 지워진 단군, 일제에 의해 훼손되고 폄훼당해 만신창이가 되었던 우리 민족의 고대사를 당당히 복원하여 우리 앞에 생생하게 펼쳐놓고 있다.
한사군 한반도설 등 기존의 학설들을 무너뜨린 명쾌한 논리와 과학적이고 역사적인 근거, 그리고 논리적 추론으로 고조선을 '상상의 제국에서 역사의 제국'으로 오늘에 되살렸다.
이 역작은 역사를 바로세우는 데 꼭 필요한 중요한 학술서인 동시에 고조선에 대한 모든 것을 알고 싶어 하는 미래 세대의 독자들에게 고대사 공부의 훌륭한 자양분이 되어줄 것이다.
윤내현 저/만권당 간/600쪽/38,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