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준식 "위안부 합의, 최선의 노력으로 일군 결과"

"박정희 국정교과서, 역사학계 연구성과 종합"

이준식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장관 후보자
이준식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장관 후보자가 졸속합의 논란이 일고 있는 한일 정부의 위안부 합의에 대해 "최선의 노력을 기울여 이뤄낸 결과"라고 평가했다.


박정희 정권 때 추진된 역사교과서 국정화에 대해서는 "역사학계의 연구 성과를 종합적으로 반영해 민족사적 시각을 근간으로 서술됐다"고 긍정적으로 평가했고, 학교 내 친일인사 인사들의 동상철거 문제에 대해서는 "학교가 자율적으로 결정할 문제"라며 미온적인 입장을 내놨다.

국회 교육문화체육관광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박홍근 의원이 교육부로부터 제출받은 '이준식 후보자 인사청문회 서면답변서'를 분석한 결과, 한일 정부의 위안부 합의에 대해 이 후보자는 "피해자분들이 대부분 고령이시라는 시간적 시급성과 현실적 여건 하에서, 일본 정부의 책임 인정, 공식적인 반성과 사죄를 받아내기 위해 최선의 노력을 기울여 이루어낸 결과라고 생각한다"고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친일인사로 규정된 인사들의 동상 또는 기념관들이 학교 내에 있는 것에 대해서는 미온적인 입장을 보였다.

이 후보자는 "학교의 동상 또는 기념관 건립은 학교의 건학 이념이나 학내 구성원의 합의와 판단 등에 따라 학교 차원에서 자율적으로 결정할 문제라고 생각한다"고 했다.

이 후보자는 박근혜 대통령과 '교육 철학을 공유하고 있음'을 강조하기도 했다.

이 후보자는 '교육정책의 최종 책임자로서 청와대와 소신이 다를 경우 어떻게 할 것인가'는 질의에 "대통령께서 생각하는 교육정책과 후보자가 생각하는 교육정책이 크게 다르지 않다고 생각한다"며 박 대통령의 철학대로 교육부를 운영할 것임을 시사했다.

박정희 정권 당시 역사교과서 국정화에 대해서도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박정희 정권 당시의 국사교과서 국정화 방안에 대한 후보자의 견해'를 묻는 질의에 이 후보자는 "박정희 정부의 국정 역사교과서에 대해서는 역사학계의 연구 성과를 종합적으로 반영하면서 민족사적 시각을 근간으로 서술되었다는 긍정적 평가가 있는 것으로 알고 있다"고 답했다.

박정희 정부가 유신독재를 정당화하기 위한 정권 홍보 목적으로 역사교과서 국정화를 추진했다는 일반적인 상식과 배치되는 대목이다.

이 후보자는 반면 "기존의 검정 한국사 교과서에 6․25 전쟁, 대한민국 수립 과정, 북한 관련 서술 등에 일부 편향된 서술이 있어, 교육부가 교과서의 오류와 편향된 서술에 대해 수정 권고 및 수정 명령을 통해 내용을 바로잡기 위해 노력했으나, 집필진들이 교육부의 수정명령을 거부하고 소송을 제기하는 등 사회적 혼란이 지속되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다"고 했다.

'뉴라이트' 성향의 교과서포럼이 발행한 '한국근현대사 대안교과서'에 대한 평가를 묻는 질의에는 "아직 면밀히 검토해보지 못해 평가하기가 어렵다"고 답을 피했다.

박홍근 의원은 "지명 뒤 언론 인터뷰를 통해 이념적 균형 잡힌 역사교과서를 만들겠다는 후보자의 다짐이 박정희 대통령 시절의 유신교과서로 재현되는 것은 아닌지 우려스럽다"며 "더구나 피해 당사자인 위안부 할머니들이 격렬히 반발하는 상황에서 이번 위안부 협상결과를 최선의 결과라고 평가하는 것은 후보자의 역사인식에 심각한 문제를 드러낸 것"이라고 지적했다.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