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에 한국피자헛 노동조합 측은 "일방적인 퇴사"라며 맞서고 있지만, 한국피자헛 측 은 "노사 간 합의 사항"이라며 문제될 게 없다고 했다.
◇ 100%25 가맹체제로 전환
14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한국피자헛은 올해 들어 75개 직영매장 중 61개를 가맹점으로 전환했다. 남은 14개 매장도 연내 가맹점으로 전환한다는 방침이다. 이 작업이 마무리되면 기존 가맹점 278개와 가맹점으로 전환한 직영매장을 합쳐 총 350여개에 달하는 전국 피자헛 매장이 100% 가맹체제가 된다.
피자헛은 이를 위해 정규직 280여 명, 비정규직 3500여 명 등 임직원 3780여명의 고용계약을 해지하는 등 강도 높은 구조조정도 진행했다. 이미 지난 6월부터 10월까지 이 중 대부분인 3250여 명이 회사를 떠났다. 지난달 말까지 남아있던 본사와 매장 직원 530여명도 대부분 사직서를 낸 상태여서 이달 중에 퇴직할 것으로 보인다.
한국피자헛 관계자는 "100% 가맹점 전환 계획은 사실"이라며 "이달 말까지 퇴사 직원 수는 정규직 230여 명을 포함해 2100여명"이라고 밝혔다.
◇ 대규모 해고 이유...'실적 부진'?
이를 놓고 다양한 해석이 나온다. 그 중 가장 큰 설득력을 얻고 있는 게 바로 '매출 부진'설이다.
금융감독원과 공정거래위원회에 따르면 2004년 연매출 3000억 원을 웃돌았던 피자헛은 지난해 매출이 1142억 원까지 급락했다. 특히 지난해에는 7억 원의 영업손실을 기록했다.
국내 피자업계 위상도 1위에서 도미노피자와 미스터피자에 이은 3위로 밀려났다.
한국피자헛은 "가맹점 전환은 철저한 시장분석을 토대로 경쟁력 강화를 위해 합리적인 절차를 밟아 추진되고 있다"며 "급변하는 시장 변화에 맞춰 가맹점 확대를 통해 국내 시장에서 지속 가능한 사업 모델을 구축할 계획"이라고 강조했다.
이외에도 '매각을 하기 위한 수순이다', '로열티 수익 확대를 꾀한 것이다' 등 다양한 관측이 나온다.
업계에서는 글로벌 본사 '염(YUM!)브랜드'가 중국과 비슷한 절차로 한국 사업을 정리할 것으로 보고 있다. 국내 외식시장 경쟁이 치열해 현재 피자헛 사업구조로는 실적 개선이 어렵다고 판단했다는 것이다.
직영점의 경우 제품개발과 마케팅 등 다양한 법적 책임과 비용이 들어가게 되지만, 가맹점 전환을 하게 되면, 더 높은 로열티를 받음에도 법적 책임에 따른 부담은 줄일 수 있다.
피자헛 직영점은 미국 본사에 로열티 3%, 한국 지점에 수수료 3.8%를 내는 것으로 알려졌다. 반면, 가맹점은 미국 본사 로열티 6%, 한국 지점 마케팅비 5.8% 등 총 11.8%를 내는 것으로 전해졌다.
염브랜드는 직영점을 가맹점으로 전환하는 것만으로도 5%포인트의 추가 수수료를 챙길 수 있다. 가만히 있기만 해도 기존 2배의 로열티를 받게 되는 것이다.
이 때문에 일각에서는 이번 피자헛의 100% 가맹체제 전환이 '마스터 프랜차이즈 전환 시도'가 아니냐는 지적이 일고 있다. 마스터 프랜차이즈는 해외에 본사를 둔 기업이 국내 회사와 계약을 통해 라이선스 임대료를 받아 챙기는, 일종의 로열티 장사를 말한다.
피자헛 관계자는 "마스터 프랜차이즈로의 전환 계획은 없다"며 "현재 추진하고 있는 기존 직영점의 가맹점 전환은 국내 시장에서 경쟁력 강화를 통해 한국피자헛의 성장을 가속화하기 위한 경영 전략"이라고 해명했다.
이어 "직영점을 가맹점으로 전환할 경우 추가 5%의 수수료가 발생한다는 노조 측 주장은 사실이 아니"라며 "상세한 내용은 한국 피자헛의 경영·영업상 기밀 사항으로 언론에 공개하지 않고 있다"고 덧붙였다.
◇ 피자헛 한국 사업권 매각?
이번 가맹점 전환 작업과 관련해서 업계에서는 흉흉한 소문도 들린다. A패스트푸드 등 다수 업체가 피자헛 한국 사업권에 관심을 보이고 있다는 얘기가 흘러나온다.
이에 대해 한국피자헛 관계자는 공식 해명 자료를 내고 "이번 가맹화 전환은 한국피자헛의 성장 가속화의 일환이며 노사간 충분한 논의에 따라 진행했다"며 "현재 법인 매각 계획은 없다"고 거듭 확인했다.
이어 "당사는 직영점의 가맹화 전환 과정에서 비정규직을 포함한 직원들의 고용 보장과 처우를 최우선으로 고려했다"며 "가맹화 과정에서 일방적 해고와 비정규직 차별 등이 발생했다는 일부 노조 전임자들의 주장은 사실과 다르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