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권 헤게모니 싸움 시작…安 "정치세력 만들겠다"

안철수發 정계개편 촉각…수도권은 패닉 상태

안철수 의원이 새정치민주연합을 탈당했다. 안 의원이 13일 서울 여의도 국회의사당 정론관에서 열린 기자회견에서 탈당을 선언하고 있다. (사진=윤성호 기자)
‘흩어지면 죽는다’고 했건만, 야권 진영의 우려가 현실로 다가왔다. 문재인-안철수 두 전현직 대표의 갈등이 결국 비등점을 넘어 끓어넘치고 만 것이다.

문재인 새정치민주연합 대표가 안 전 대표의 혁신전당대회 소집 요구를 마지막 순간까지 끝내 거부하자 안철수 전 대표는 휴일인 13일 오전 기자회견에서 독자적인 정치세력화를 선언했다.

안 전 대표는 이날 국회 정론관에서 연 기자회견에서 “이제 당 안에서 변화와 혁신은 불가능하다는 결론에 이르렀다”며 “오늘 새정치연합을 떠난다”고 탈당을 선언했다.

그는 “안에서 도저히 안 된다면 밖에서라도 강한 충격으로 변화를 이끌어내야 한다”면서 “허허벌판에 혈혈단신 나선다”고 비장한 각오를 보였다.

탈당 이후의 행보에 대한 방향도 제시됐다. 새누리당의 집권을 저지해 정권교체를 이룰 수 있는 정치세력을 만들겠다는 것. 다시 말해 독자 신당 창당이다. 허허벌판에 혈혈단신 나선다고 밝힌 만큼 당분간 천정배 신당과는 별개로 추진될 전망이다.


“기존 야당(새정치민주연합)은 국민들께 어떤 답도 드리지 못하며 세상을 바꿀 수도, 정권교체의 희망을 만들지도 못한다”고 강도높게 비판한 만큼 제1야당의 분열은 초읽기에 들어갔고, 1여 다(多)야 구도가 현실화되더라도 주도권을 잡기 위한 야권 내부의 헤게모니 싸움은 치열해질 것으로 보인다.

안 전 대표는 “새누리당 세력의 확장을 막고 더 나은 정치, 국민의 삶을 돌보는 새로운 정치로 국민들게 보답할 것이다. 정권교체는 그 시작이다”라고 밝혔다. 이는 현 새정치연합이 정권교체를 이룰 수 없는 이른바 ‘불임정당’임을 강조하는 동시에 야권 분열로 설혹 내년 총선에서 참패하더라도 정권교체에 대한 희망을 야권 지지층에 보내려한 것으로 해석된다.

안철수발 정계개편이 당장 대규모 탈당 사태로 이어질 지는 미지수다. 소규모 인원이 동반탈당 대열에 나서겠지만 추가 탈당은 현역의원 공천 20% 컷오프 시점과 맞물려 이뤄질 공산이 크다. 내일(14일)이나 모레 탈당하겠다고 밝힌 문병호 의원은 “이번 주 중 수도권과 호남의 현역의원 5~10명이 1차 탈당에 나설 것이고 연말까지는 교섭단체 구성에 필요한 20명 규합은 문제가 없다”고 주장했다.

총선에서 대개 1천표 미만 박빙의 승부가 펼쳐지는 수도권 지역 의원들은 패닉에 빠졌다. 호남지역이 아닌 한 수도권이나 중부권 지역구의 경우 1여 다야 구도에서 살아남기는 하늘의 별따기 만큼이나 어려워 유력한 중진의원들까지 당락을 걱정해야 할 처지에 내몰렸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안철수 전 대표가 독자신당의 깃발을 높이 치켜든 만큼 야당의 주도권을 잡기 위한 치열한 경쟁은 불가피해졌다. 안 전 대표는 ‘더 나은 정치’와 ‘국민의 삶’을 돌보는 새로운 정치를 표방하며 ‘혁신과 중도’라는 포석을 깔았다.

문재인 대표와 가까운 조국 서울대 교수는 트위터에 “김상곤 혁신안과 안철수 혁신안을 실천하면 가장 먼저 혁신 대상이 되는 사람들이 안철수를 지지하는 역설적 현상을 직시해야 한다”며 “이제 세력과 세력, 당 대 당으로 노선경쟁과 혁신경쟁을 하는 것만 남았다”고 말했다.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