등골 빠지는 교육비…50살 넘어야 빚 갚기 시작한다

우리나라 고령층 소득 안정성과 자산 유동성 취약…단기 부채상환 여력 불충분

(일러스트=스마트이미지/노컷뉴스)
우리나라는 미국이나 유럽에 비해 고령층의 부채가 과중한 것으로 드러났다. 40대의 과도한 자녀 교육비 지출에 따라 50대에 들어서야 빚을 줄이기 시작하기 때문으로 추정된다.

이에따라 우리나라 60대 이상 고령층은 미국의 금융위기 같은 거시금융 여건이 급변할 경우 다른 연령대에 비해 부채 상환 부담이 더 크게 나타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개발연구원(KDI) 김지섭 연구위원이 18일 발표한 '고령층 가계부채의 구조적 취약성' 보고서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60대 이상 고령층 가구의 소득대비 가계부채 비율은 161%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전 연령대의 소득대비 가계부채비율 평균인 128%보다 높은 것으로, 미국과 유럽에서 60대 이상 고령층의 소득대비 가계부채 비율이 평균보다 크게 낮은 것과 비교하면 특수한 상황으로 평가된다.


또 60대 이상 고령층 가구의 소득 중 안정적 소득에 해당하는 연금이나 이전소득이 차지하는 비중은 29%에 불과해, 연금 비중이 70%를 넘는 독일과 네덜란드는 물론, 39%인 미국보다도 낮은 것으로 분석됐다.

고령층의 금융자산 대비 가계부채 비율도 74%로 전 연령대의 비율인 67%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단기에 동원할 수 있는 자금이 매우 부족하다는 뜻이다.

김 연구위원은 동태적 분석을 통해, "최근 우리나라의 거시금융여건은 전 연령대에서 부채를 증가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해 왔으며, 우리나라 가계는 상대적으로 늦은 50대에 이르러서야 부채를 축소시키기 시작하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또 이처럼 부채 상환시기가 늦어지는 이유는 40대 가구의 과도한 자녀 교육비 지출에 따른 낮은 저축 성향에 기인할 가능성이 있다고 김 위원은 추정했다.

보고서는 "우리나라의 고령층은 연금소득 비중이 낮고, 금융자산 대비 부채비율이 높아 단기적인 부채상환 여력이 충분하지 못하고, 부채규모가 상대적으로 과중해 거시금융 여건이 변할 경우 고령층의 부채 상환부담이 더 크게 나타날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했다.

이에따라 가계부채의 상환구조를 거치식 일시상환에서 비거치식 분할상환으로 신속히 정착시킬 필요가 있고, 주택연금이나 역모기지 제도 등을 적극 확대해 부동산 자산의 유동성을 높여야 한다고 제안했다.

실시간 랭킹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