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에따라 우리나라 60대 이상 고령층은 미국의 금융위기 같은 거시금융 여건이 급변할 경우 다른 연령대에 비해 부채 상환 부담이 더 크게 나타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개발연구원(KDI) 김지섭 연구위원이 18일 발표한 '고령층 가계부채의 구조적 취약성' 보고서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60대 이상 고령층 가구의 소득대비 가계부채 비율은 161%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전 연령대의 소득대비 가계부채비율 평균인 128%보다 높은 것으로, 미국과 유럽에서 60대 이상 고령층의 소득대비 가계부채 비율이 평균보다 크게 낮은 것과 비교하면 특수한 상황으로 평가된다.
또 60대 이상 고령층 가구의 소득 중 안정적 소득에 해당하는 연금이나 이전소득이 차지하는 비중은 29%에 불과해, 연금 비중이 70%를 넘는 독일과 네덜란드는 물론, 39%인 미국보다도 낮은 것으로 분석됐다.
고령층의 금융자산 대비 가계부채 비율도 74%로 전 연령대의 비율인 67%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단기에 동원할 수 있는 자금이 매우 부족하다는 뜻이다.
김 연구위원은 동태적 분석을 통해, "최근 우리나라의 거시금융여건은 전 연령대에서 부채를 증가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해 왔으며, 우리나라 가계는 상대적으로 늦은 50대에 이르러서야 부채를 축소시키기 시작하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또 이처럼 부채 상환시기가 늦어지는 이유는 40대 가구의 과도한 자녀 교육비 지출에 따른 낮은 저축 성향에 기인할 가능성이 있다고 김 위원은 추정했다.
보고서는 "우리나라의 고령층은 연금소득 비중이 낮고, 금융자산 대비 부채비율이 높아 단기적인 부채상환 여력이 충분하지 못하고, 부채규모가 상대적으로 과중해 거시금융 여건이 변할 경우 고령층의 부채 상환부담이 더 크게 나타날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했다.
이에따라 가계부채의 상환구조를 거치식 일시상환에서 비거치식 분할상환으로 신속히 정착시킬 필요가 있고, 주택연금이나 역모기지 제도 등을 적극 확대해 부동산 자산의 유동성을 높여야 한다고 제안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