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은 북한 문제만을 담아 한미 정상 간에 처음 채택된 ‘북한에 관한 한미공동성명’에서 “박 대통령이 드레스덴 연설에서 제시한 바 있는 한반도 평화통일 비전을 계속하여 강력히 지지해 나갈 것”이라며 “우리는 한반도의 평화 통일에 유리한 환경을 조성하기 위한 고위급 전략 협의를 강화할 것”이라고 밝혔다.
정부 관계자는 한미가 합의한 고위급 전략협의에 대해 “양국 현안을 놓고 한미 간에 각급 레벨에서 협의가 진행되는데 그런 협의가 더 심화되는 것”이라며 “(이 문제에 대해) 앞으로 한미 간에 추가적 협의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앞으로 가동될 고위급 전략 협의 채널에서 “통일 관련 협의를 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박 대통령은 지난달 초 시진핑 중국 주석과의 한중정상회담을 마친 뒤 “가능한 조속한 시일 내에 한반도 평화통일을 어떻게 이루어 나갈 것인가에 대해 다양한 논의가 (중국과) 시작될 것”이라고 밝힌 바 있다.
박 대통령이 한중정상회담을 통해 ‘통일 대화’에 대한 공감대를 형성한 데이어 이어 한미정상회담에서도 평화통일 환경 조성을 위한 대화 채널을 만들기로 한 것이다.
박 대통령은 이번 방미 외교를 통해 굳건한 한미동맹을 재확인하면서 미국에서 제기된 한국 의 중국 경사론을 불식시키는 한편 여기서 더 나아가 한미정상회담을 통해 북핵 문제의 해결을 위한 중국과의 공조라는 합의를 이끌어냈다.
박 대통령은 한미중 3국 협의, 한미일 3국 협의, 한일중 3국 협의 등 다양한 형태의 3각 협력의 틀을 가동해 북한이 비핵화 대화에 나올 수 있는 환경 조성에 나설 것으로 전망된다.
박 대통령은 “다양한 형태의 3각 외교는 동북아 지역에서는 새로운 시도”라고 의미를 부여하면서 “양자 관계와 다지 협력 증진에도 중요한 기여를 할 것”이라고 밝혔다.
한미 정상이 채택한 ‘북한에 관한 한미공동성명’도 우리 측이 먼저 제안을 해 미국이 수용한 것으로 전해지는 만큼, 매우 공세적인 접근 방식으로 평가된다.
관건은 이런 다자적 틀의 압박에 대해 북한이 어떻게 반응할 것이냐 여부이다.
박 대통령의 통일외교는 통일에 대한 국제사회의 공감대를 확산시키는 긍정적인 효과가 있기는 하겠지만, 성공 여부는 북한의 반응에 좌우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전망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