풍성한 한가위? 열받는 명절!…'힐링'아이템은 대목

백화점 세일. (자료사진)
"한가위만 같아라"고 하지만 민족의 명절 추석이 반갑지 않은 사람들도 많다. 명절음식을 비롯해 강도 높은 가사노동에 시달려야 하는 주부들이 대표적이다. 덕분에 주부 층을 겨냥한 상품들은 대목을 맞는다.

주부들이 주로 이용하는 인터넷 카페는 추석 연휴를 전후해 '누가 더 고생하나','어떤 에피소드가 가장 서러운가' 등을 겨루는 내용으로 가득차는데, 그만큼 비중이 높은 수다거리 중 하나가 쇼핑을 통해 명절 증후군을 극복하는 얘기들이다.


추석 당일을 시댁에서 보냈다는 50대 주부는 "매년 하는 고생이지만, 먼 미래에도 적응이 되지는 않을 것"이라면서 "다행히 가족들이 나의 고생을 알기 때문에 명절 이후 쇼핑으로 스트레스를 푸는 것에 대해서도 이해해주는 분위기"라고 말했다.

실제로 CJ오쇼핑에 따르면 지난해 추석 연휴 직후 일주일(9월11일~9월17일) 간 매출은 전월 동기 비교해 10% 이상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진주 악세사리는 목표치 대비 3.8배, 경락 롤러 이미용 기기는 2배 가량 높은 실적을 올렸다. CJ오쇼핑은 연휴가 끝난 30일부터 곧바로 천연진주 목걸이와 뷰티용품 등 힐링 아이템으로 무장해 주부 소비자 공략에 나선다.

신세계백화점에 따르면 최근 3년간 명절 직후 일주일간 백화점 이용객들 가운데 40-50대 주부 고객들이 선호하는 장르의 매출은 최소 20% 이상 증가했다. 여성클래식 의류와 해외 패션의류 등이 대표적이다. 신세계백화점이 연휴 마지막 날인 28일부터 주부들의 로망인 모피를 할인 판매하는 것도 이 때문이다.

한마디로 쇼핑이 명절 스트레스를 해소하는 방법으로 확고히 자리잡은 모습이다. 패션과 미용 상품 뿐 아니라 간편식 매출도 함께 늘어난다. G마켓 등 오픈마켓에서는 명절 손님을 치르고 난 여성들이 쉽게 요리해 먹을 수 있는 즉석 식품의 매출이 추석 직후 증가하는 경향이 있다고 한다.

자기 보상형 소비 뿐 아니라 손목터널 증후군 등 실제 몸이 겪는 후유증을 극복하기 위한 기능적 소비도 함께 증가한다. 안마기와 피부관리실 상품권 매출이 반짝 증가하는 것으로 확인할 수 있다.

업계 관계자는 "올해는 추석 직후 코리아 그랜드 세일이 시작되는 만큼, 소비자들이 명절 증후군을 쇼핑으로 극복하는데 유리한 환경이 될 것 같다"면서 "평소 아끼던 주부들이 고가의 보석이나 의류에 지갑을 여는 시기인 만큼 이들을 공략한 세일 제품들도 많이 나올 것"이라고 말했다.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