얼마 전 국정감사에서 ‘비리 사학’ 대성학원과의 유착설을 두고 의원들로부터 난타당한데 이어 최근에는 대전고의 국제고 전환에 제동이 걸렸기 때문.
‘만족스럽지 못한’ 상황에 일각에서는 대전교육청이 ‘명분도 잃고 실리도 잃었다’는 평가마저 제기되고 있다.
우선 대전고의 국제고 전환 문제를 살펴보면 교육부 중앙 투.융자 심사위원회는 지난 24일 대전고의 국제고 전환 방침에 대해 ‘재검토’를 결정했다. 국제중학교와 국제고등학교를 ‘함께’ 설립하라는 취지다.
결과적으로 대전 국제중.고 논의가 처음 시작됐던 5년 전으로 되돌아간 셈으로 허비된 행정력과 시간은 물론 향후 재논의를 위한 동력 확보에도 많은 어려움이 예상된다. 사실상 무산이라는 시각도 적지 않다.
특히 대전교육청이 대전고의 국제고 전환 과정 속에서 불거진 논란과 갈등, 의혹 등을 해소하기보다 오히려 키웠다는 지적을 감수하면서까지 추진한 전환이라는 점에서 볼 때 이번 교육부의 재검토 결정은 교육청에게 ‘뼈아픈’ 사건이 아닐 수 없다. 명분도, 실리도 모두 잃었다는 평가가 나오는 이유다.
학교법인 대성학원 문제와 관련해서도 대전교육청은 득보다 실이 많은 모양새다.
대전교육청은 앞서 지난 14일 열린 국정감사에서도 비리사학 대성학원과의 유착설로 인해 의원들에게 집중 추궁을 당한 바 있다. 이사장을 비롯한 25명의 교원들이 비리 혐의로 기소된 사태에 대한 미온적 대응에 따른 것으로 국감장에 나선 설동호 교육감은 “비리사학 척결 의지가 있는지”에 대한 의원들의 추궁에 진땀을 흘려야 했다.
하지만, 진땀 이 후에도 아직까지 상황을 개선하고자 하는 교육청의 노력은 찾아보기 힘들다.
전교조 대전지부는 지난 25일 “정도가 덜한 세종교육청이 대성학원 사태에 연루된 교원들을 중징계하거나 임용을 취소하는 등 비리 척결의 칼을 뽑아든 것과 달리 정도가 훨씬 심한 대전교육청은 여전히 비리사학 감싸기로 일관하고 있다”며 “심지어 교육청이 대성학원을 위해 감사를 질질 끌고 있다는 의혹까지 더해지고 있다”고 주장했다.
비리 사학의 신입생 입학설명회와 원서접수, 수능시험 일정 등에 차질이 빚어지지 않도록 ‘배려’하고 있다는 것인데, 의원들의 질타 이 후에도 논란과 의혹을 자초하는 교육청의 모습은 변한 게 없어 보인다.
대성학원 사태와 대전고의 국제고 전환 과정에서 교육청이 갈등과 의혹을 오히려 키웠다거나, 중재역할이 미흡했다는 지적, 또는 신뢰와 리더십을 잃었다는 우려 등이 잇따르고 있는데 반해, 이를 통해 얻은 성과물은 좀체 찾아보기 어렵다는 게 현재 대전교육청을 바라보는 일부 교육계 인사들의 시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