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의 성악은 어떻게 다를까?

국립국악원은 오는 9월 24일 오후 2시와 7시, 국립국악원 우면당에서 제2회 북한음악 학술회의와 ‘북한의 민족성악’과 연주회를 개최한다.

이번 북한음악연주회는 지난해 악기를 위주로 했던 ‘민족기악’과 달리 북한식 발성과 창법, 북한 양식의 성악곡을 감상할 수 있는 ‘민족성악’을 알아보는 자리로 마련했다.

또한 남한의 전통 민요와 창작음악까지 함께 비교 감상할 수 있는 기회를 가질 예정이다.

북한은 1950년대 중반부터, 특히 일제강점기 단절되었던 민족음악의 현대화 사업을 시작했다.

이에 따라 음률의 문제와 함께 전통악기 개량사업이 진행되었고, 이와 함께 성악분야의 개량사업도 진행되었다.

발성과 창법도 현대 감성에 맞게 바꾸는 사업을 진행했다.


민족성악의 개량은 일반 주민들의 취향에 맞게 ‘민요’를 위주로 진행되었다.

단성부 위주의 민요들을 서양의 ‘다성음악’을 본보기로 해 개편했다.

이에 따라 남녀성부를 나누고 고저성부를 나눠 음악적 다양화를 꾀했고 다양한 중창 형식을 개발해 연주곡목을 넓혔다.

음악 양식의 측면과 함께 무엇보다도 중요시한 것이 바로 ‘가사’였다.

북한의 민족음악 역시 사회주의 문학예술 작품 내용을 현대적 감수성에 맞는 ‘가사’로 다뤘으며 현대 북한 사회나 주민들의 모습도 담아내도록 바꿔나갔다.

이번 연주회에는 북한에서 유학하고, 북한의 <4월의 봄> 친선예술축전 등에서 수상경력이 있는 북한음악의 전문가인 중국 연길의 성악가 ‘김순희’, ‘렴수원’, ‘박춘희’, ‘임향숙’, ‘최성룡’이 참여한다.

이들이 연주할 10곡은 이번 공연에 맞게 편곡되었는데 편곡은 연길의 작곡가 ‘박찬일’이 맡아 진행하였다.

북한음악으로 부를 곡목은 2부로 나눌 수 있다.

먼저 전통민요를 북한식으로 편곡한 곡들로서 혼성중창 〈모란봉〉·〈회양닐리리〉와 독창〈바다의 노래〉·〈영천아리랑〉·〈우리의 동해는 좋기도 하지〉가 그것이다.

다음으로 전통 민요를 기반으로 새로 창작한 독창〈산천가〉·〈소방울소리〉·〈우리 장단이 좋아〉·〈풍년새가 날아든다〉·〈황금산 타령〉가 이어진다.

연주회에 앞서 오후 2시 학술회의에서는 ‘북한의 민족성악’을 주제로 연구자들의 발표와 토론이 진행된다.

학술회의에서는 남쪽에서 중요하게 쓰이고 있는 판소리의 거친 발성이 1950~60년대 북한에서 사라지게 된 과정과 남쪽 학계에는 소개되지 않았던 북한의 민족성악 작곡기법과 합창법, 실제 음악에 대한 분석 결과 등을 분석한다.

실시간 랭킹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