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비판을 수용하지 못하는 속좁은 집권당 행태

새누리당이 네이버와 다음 등 주요 인터넷 포털 사이트의 대표들을 국정감사의 증인으로 채택하겠다고 한다.

모바일 포털 사이트 첫 화면에 배치한 기사들이 특정 정당에 편향적이라는 것이 이유다.

이해진 네이버 이사회 의장과 김범수 다음카카오 이사회 의장을 국감장에 세워 정부 여당에 대한 편향적인 편집을 문제 삼겠다는 것이다.

야당이 반대하고 있기 때문에 증인 채택이 이뤄질 가능성은 높지 않다.

하지만 집권당이 특정 포털사이트에 대해 편향성을 문제 삼으며 국정감사 증인 채택을 추진한다는 것 자체가 심각한 문제다.

당장 네이버와 다음이 뉴스를 편집하는 과정에서 여당의 눈치를 볼 수 밖에 없을 것이다.

새누리당으로서는 증인 채택이 이뤄지지 않는다 하더라도 포털에 대한 충분한 압박 효과를 거둘 수 있다고 판단하는 듯하다.

새누리당이 이처럼 무리수를 두는 까닭은 내년 총선을 앞두고 갈수록 영향력이 커지고 있는 포털에 대한 길들이기라는 분석이 지배적이다.

그러나 새누리당의 이 같은 발상은 정부여당에 대한 비판조차 용인하지 않겠다는 태도로 민주주의를 크게 후퇴시키는 위험한 발상이다.

집권당이 비록 언론사는 아니라 할지라도 사실상 언론 기능을 하고 있는 포털을 압박하려는 것은 또다른 언론통제이자 반대세력을 용인하지 않겠다는 독재적 발상에 다름없다.

일방적으로 정부와 여당 편들기를 하고 있는 종편에 대해서는 편향성을 지적하지 않으면서 포털의 뉴스편집을 문제 삼는 것은 속이 뻔히 보이는 행태다.


새누리당이 포털 뉴스편집의 편향성을 문제 삼게 된 근거는 여의도 연구원의 포털 모바일 뉴스 메인화면 빅데이터 분석보고서에 근거한 것이다.

올 1월부터 6월까지 다음과 네이버 모바일 첫 화면에 뜬 콘텐츠 5만236건을 분석해보니 정부여당에 부정적인 기사가 많았다는 것이다.

문제의 보고서는 분석 기준에서부터 분석 내용에 이르기까지 논란거리가 많고 애매모호하다는 지적도 나오는 상황이다.

여당에 부정적인 기사로 분류된 957건의 기사들 가운데 정부부처나 경찰과 관련된 기사도 여당에 부정적인 기사로 분류됐다는 것이다.

무엇보다 정부여당에 대한 비판이 합리적인 것인지에 대한 판단 없이 계량화된 수치만으로 단순한 수치상으로 정부에 대한 비판적 뉴스가 많기 때문에 공정성에 문제가 있다는 인식 자체가 문제다.

더욱이 부정적인 기사 건수는 전체 데이터 5만개의 2% 수준에 불과하다.

올 상반기 경제가 침체되고 남북관계가 극적인 합의 전까지는 매우 불안정한 상황이었고 메르스 사태와 국정원 해킹 의혹 등 갖은 악재가 터진 상황이었다는 점을 감안한다면 비판적인 뉴스가 오히려 많지 않은 편으로 볼 수도 있다.

그런데도 김무성 새누리당 대표도 이 같은 보고서를 근거로 "포털 사이트는 청년들에게 미치는 영향이 절대적인데 왜곡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은 잘못됐다"고 주장했다.

김 대표가 집권당 대표일 뿐 아니라 여권의 유력한 차기 대선주자라는 점에서 비판적인 언론을 수용하지 못하는 태도는 매우 실망스럽다.

사실 언론에서 정부와 집권당에 대해 비판적인 견제 기능을 하는 것은 매우 자연스러운 일이다.

또 국정을 책임지는 정부와 여당에 대한 비판이 제기되는 것은 민주사회에서는 지극히 자연스러운 현상이다.

이번에는 포털이지만 다음에는 언론의 비판적 기능까지 마비시키려 하지 않을까 지극히 우려된다.

실시간 랭킹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