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부 '학교 통폐합' 혈안 "통합학생 수 많으면 인센티브 더"

정진후 "무분별한 통폐합, 도시에서도 통폐합 일어날 수 있어"

(사진=스마트이미지 제공/자료사진)(사진=스마트이미지 제공/자료사진)
정부가 학생 수가 더 많은 학교를 통폐합 할때 더 많은 인센티브를 주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어 논란이 일고 있다.

학교 통폐합 인센티브에 학생 수를 연계시킴으로서, 그동안은 농어촌이나 산간벽지를 중심으로 이뤄지던 학교 통폐합이 도시 지역에서도 가속화되게 하는 등 부작용이 우려되기 때문이다.

정의당 정진후 의원이 교육부로부터 제출받은 '지방교육재정 효율화 방안 후속조치 관련 지방교육재정교부금법 시행령·시행규칙 개정 계획' 자료에 따르면, 학교 통폐합 인센티브는 통폐합 되는 학생 수와 연계하도록 돼 있다.

자료에 따르면, 학교를 통폐합하고 인근에 새로운 학교를 세울 경우(신설대체) 교육청에 교부되는 인센티브는 지금은 학생 수에 상관없이 30억원이다.

하지만 개선안이 시행되면 학생 수가 60명 이하인 학교를 없앴을 때는 30억원, 61~120명인 학교를 없애면 40억원, 120명이 넘는 학교를 없애면 50억원을 받을 수 있다.

중·고등학교의 경우 학생 수 60명 이하의 학교를 없애면 80억원, 61~120명인 학교의 경우 90억원, 120명을 초과할 경우 100억원을 받는다.


결국 학생 수가 많은 학교를 통폐합하면 지방교육청은 더 많은 재정을 지원받을 수 있는 구조가 된 것이다. 신도시를 제외하더라도 농어촌에 비해 상대적으로 학생 수가 많은 도시지역의 중소 학교까지 빠르게 통폐합을 유인하는 요인이 될 수 있다.



교육부는 지난 7월 논의를 거쳐 이같은 내용의 지방교육재정교부금법 시행령과 시행규칙 개정안을 입법예고한 것으로 전해졌다.

학교 통폐합 정책은 지방교육재정의 효율화 방안으로 각 학교에 들어가는 예산을 줄이기 위한 목적으로 실시됐다. 박근혜 대통령은 "학생 수가 계속 감소하는 등 교육 환경이 크게 달라졌는데도 학교통폐합과 같은 세출 효율화에 대한 인센티브가 전혀 없다"고 지적한 바 있다.

하지만 학교 통폐합 시 인센티브를 교부하는 정책은 이미 지역사회를 중심으로 큰 반발을 불러일으켰다.

정부가 교육의 공적 역할은 배제하고 재정효율성이나 이윤 등 경제적인 논리만 따져 통폐합 정책을 내놓은 것 아니냐는 것이다. 일명 '작은 학교'가 단순히 교육의 역할 뿐 아니라 젊은 세대들을 붙잡아 지역 사회를 유지시키는 기반이 되고 있다는 점도 들고 있다.

이러한 반대의견에도 불구하고 교육부가 인센티브 정책을 실시하는 것도 모자라 학생 수 기준을 세분화해 통폐합 인센티브와 연계시킴으로서, 보다 공격적으로 학교통폐합 정책을 실시하려 하는 것 아니냐는 비판이 일고 있다.

전국교직원노동조합 송재혁 대변인은 "과거에는 소규모 학교라 하면 60명 정도를 기준으로 했는데, (자료에서는) 통폐합 기준 인원을 120명까지 언급하고 있다"면서 "통폐합 정책을 농어촌 지역 뿐 아니라 수도권 학교 등 전국적인 의제로 넓혀, 학교 통폐합 정책을 공격적으로 진행하려는 의도로 보인다"고 비판했다.

이어 "농어촌 죽이기란 비난을 회피하면서 경제적인 논리에 의한 학교 수 구조조정을 전국적으로 확대하려는 의도"라고 밝혔다.

정진후 의원실에 따르면, 실제로 서울시교육청은 지난 8월 초 강서구의 공진중학교(4월 1일 현재 197명)와 송정중학교(4월 1일 현재 296명)를 통폐합하고 인근에 중학교를 신설하기로 결정한 사례도 있었다.

당시 학부모들은 지원금을 받으려 굳이 시급하게 이전할 필요가 없는 두 학교를 통폐합한 것 아니냐며 반발하기도 했다.

정 의원은 "정부는 4대 개혁이라며, 지방교육재정 개혁이라며, 통폐합에 정성을 쏟고 있다”며, "선생님과 학부모 그리고 지역사회는 학교 살리기에 상당한 노력을 기울이는데, 박근혜 정부는 학교 없애기에 몰입하고 있는 것"이라라고 비판했다.

추천기사

실시간 랭킹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