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 직접사과로 '도발 악순환' 고리 끊었다②

남북 고위급 접촉이 25일 새벽 극적으로 타결되자 경기도 연천군 중면 삼곶리 민방공 대피소의 비상 근무자들이 뉴스를 시청하고 있다. (사진=윤창원기자)
우리 측은 북측의 이 같은 양보에 대해 대북 확성기 방송을 25일 정오부터 중단하는 것 외에는 별다른 보상 조치를 취하지 않았다.

북측은 오히려 준전시 상태 해제(제4항)와 추석을 계기로 한 이산가족 상봉(제5항) 등 우리 측 요구안을 추가 수용했다.

이 밖에도 남북관계 개선을 위한 당국회담 개최(제1항)와 다양한 분야의 민간교류 활성화(제6항)는 남북 모두에게 도움이 되는 것이지만, 따지고 보면 남측의 기본적 대북정책이 반영된 것이다.

이번 고위급접촉은 가히 ‘체력전’이라고 부를 만한 밤샘 마라톤협상에서도 우리 측이 끈질기게 일관된 원칙론을 관철시킨 개가로 평가된다.


협상이 장기화되면서 비관적 전망이 짙어지던 24일 오전 박 대통령은 "사과와 재발 방지가 가장 중요한 사안" 이라며 대북 원칙론을 강조했다.

사실상 북측의 '백기투항'을 압박함으로써 협상 결렬이 우려되는 순간이었지만, 결과적으로 북측이 대승적 양보를 한 것으로 보인다. 남북이 함께 ‘신의 한 수’를 둔 셈이다.

북측은 이번 지뢰도발로 인한 무력 충돌 사태를 풀기 위해 김양건 노동당 비서 명의의 서한을 보내면서 이전과는 현격히 다른 행보를 보였다.

협상 과정에서도 회담장을 박차고 나가는 식의 기존의 ‘벼랑 끝 전술’을 버리고 끝까지 대화의 끈을 놓지 않는 진정성 있는 태도로 이번엔 뭔가 다를 것이란 기대감을 낳았다.

결국 남북간 전력이 총동원되다시피 하며 일촉즉발의 위기로 치닫던 지뢰도발 및 포격도발 사태는 오히려 극적 반전을 통한 전화위복의 계기가 됐다.

다만 남북관계가 그간의 험로를 이제 겨우 벗어나기 시작한 만큼 방심과 낙관을 절대 금물이며 신뢰 구축을 위한 차분한 대응이 어느 때보다 필요하다.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