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원식 "새정치 2차 혁신안, 文 임기도 줄였다"

-사무총장제 폐지, 최재성 겨냥 아냐
-사무총장에게 黨인사, 예산 권한 집중돼
-계파의존, 비효율적 최고위원제 폐지
-혁신안이 친노 편향? 내가 친노인가?

■ 방송 : CBS 라디오 <박재홍의 뉴스쇼> FM 98.1 (07:30~09:00)
■ 진행 : 박재홍 앵커
■ 대담 : 우원식 의원 (새정치민주연합 혁신위원)

새정치민주연합 혁신위원회가 어제 2차 혁신안을 발표했습니다. 현역 의원 가운데 유일하게 혁신위원으로 활동하는 분이죠. 새정치민주연합 우원식 의원 연결해서 자세한 내용 짚어봅니다. 의원님, 안녕하십니까?

◆ 우원식> 안녕하세요. 우원식입니다.

◇ 박재홍> 어제 나온 2차 혁신안 내용을 보면 먼저 사무총장직을 폐지하기로 했는데요. 어떻게 나온 결정인가요?

◆ 우원식> 최근 사무총장 인선을 둘러싸고 당 지도부가 보여준 모습을 국민들이 굉장히 걱정스러운 시선으로 보셨을 겁니다. 사무총장 자리가 당의 살림을 챙기는 자리인데, 이게 사실은 계파의 대리전 같이 돼버린 이유가 사무총장직에 과도한 권한이 부여돼 있기 때문에 그런 거거든요. 그리고 이런 과도한 권한 집중이 향후 공천과정에서 공정성을 해칠 것이라는 주장들이 있고, 한쪽에 과도한 권한을 분산시킬 필요가 있겠다 이렇게 생각을 했고요. 그래서 사무총장제를 폐지하고 권력을 분산시키는 5개 본부장 체제로 변화시키자 이렇게 생각을 한 거죠.

◇ 박재홍> 그래서 폐지가 오는 20일에 결정되는 겁니다.

◆ 우원식> 그렇습니다.

◇ 박재홍> 그렇게 되면 최재성 사무총장은 불과 보름 만에 사무총장직을 잃게 되는 거 아닌가요?

◆ 우원식> 사무총장직이 없어지니까 그렇게 되죠.

◇ 박재홍> 그래서 일각에서는 너무 가혹한 것이 아니냐는 지적도 나오고 있는데.

◆ 우원식> 이번 혁신안이 최재성 사무총장을 겨냥한 것은 아니고요. 사무총장 인선을 둘러싼 갈등, 그 자체를 해소하겠다는 거거든요. 사무총장 자리가 계파 대리인으로 인식되고 갈등하는 것들을 없애자는 것이고. 그래서 이걸 5개의 본부장 체제로 권력을 분산해서 이해를 달리하는 사람들 간에 잘 조절해서 일하는 조직으로 만들자는 거기 때문에, 최재성 사무총장 본인이 생각할 때 그럴 수 있습니다, 충분히 그럴 수 있고. 저 개인적으로도 미안한 생각이 있습니다마는, 본인 최재성 사무총장이 잘못됐다는 게 아니고 사무총장을 둘러싼 과도한 권한 집중과, 그것을 가지고 갈등하고 있는 계파의 문제. 이런 문제들을 다 감안해서 취해진 저희들의 안이기 때문에 최재성 사무총장이 잘 이해할 거라고 생각합니다.

◇ 박재홍> 그런데 최재성 사무총장 인선 과정에서 비노계에서 굉장히 비판이 많았지 않습니까? 지금도 문제 제기를 하고 있고. 그래서 아예 없애버린 게 아니냐 이런 얘기도 있고요. 또 심한 비판을 하시는 분들은 세월호 이후에 해경을 해체한 것과 똑같다, 이런 말도 하는데요.

◆ 우원식> 그렇진 않고요. 저희들도 그동안 쭉 그런 비판이 있었습니다마는, 당의 여러 시스템이 잘 안 돌아갑니다. 그게 사무총장에게 모든 인사와 예산, 그리고 모든 권한이 집중되어 있기 때문에 한 사람이 전 조직을 관리한다면 굉장히 비효율이거든요. 그래서 이런 권력을 나눠서 일하는 조직으로 바꿔야 한다는 문제제기가 내부에서도 있었고요. 그렇게 해야 당 전체적으로 구석구석 누가 어떻게 일하고 있는지도 살펴볼 수도 있고 그것을 평가할 수 있는 거죠. 그래서 과도한 권한 집중에 대해서는 분산해야 한다, 분권을 하자는 목소리가 그 전부터 있어 왔던 것이고요.

◇ 박재홍> 그런데 사무총장을 없애는 대신에 인사와 재무를 담당하는 총무 본부장이 신설되잖아요. 똑같은 거 아닌가요? 이름만 바뀐 건 아닌가요?

◆ 우원식> 그렇지는 않고요. 사무총장 직제 밑에 직제로 확고히 갖고 있는 게 총무와 조직이거든요. 이게 하나로 합쳐져 있기 때문에 권한이 더 크다 그런 건데, 그걸 총무본부와 조직본부로 분산시키는 거고. 또 하나는 전략홍보본부, 디지털소통본부, 민생본부 이런 것들을 만들어서 민생활동을 한편으로 강화해 가면서 5개 본부 체계에 인사와 예산에 관해서 그 권한을 부분적으로 나눠주는 겁니다. 그렇게 해서 총무본부장이 기존 사무총장의 살림을 챙기는 역할을 대신합니다마는 나머지 권한은 분산되는 거기 때문에 굉장히 다른 거죠.

◇ 박재홍> 사무총장 한 명이 하던 역할을 5개 본부장 체제로 나눴다?

◆ 우원식> 네, 그렇습니다.

◇ 박재홍> 그렇군요. 그리고 또 하나. 어제 발표한 내용 중에 최고위원회 폐지도 있습니다. 역시 계파 갈등 소지를 없애겠다, 이런 취지인가요?

◆ 우원식> 네, 그렇습니다. 최고위원선거는 최고위원들이 갖고 있는 정치적 권한이나 위상에 비해서 선거구역이 너무 넓습니다. 대통령 선거같이 전국을 돌며 해야 하는 선거거든요. 선거 비용도 너무 많이 드는 비효율이 있을 뿐 아니구요. 이를테면 저도 지난번 최고위원을 했는데 제가 서울 사람이거든요. 그런데 경상도에 가서 선거 운동, 강원도 가서 선거운동하려니까 아는 사람도 별로 없고 해서 다 계파에 의존할 수 밖에 없게 돼요. 그러니까 이게 대의성을 가져야 하는데 대의성 보다는 계파성이 더 강조되고 강화되는 상황이어서 최고위원 선거의 비효율과 계파성을 극복할 필요가 있겠다, 그래서 현행 최고위원제를 폐지하고 이런 대의성이 강화된 새로운 지도 체제를 구축하자는 겁니다. 그래서 계파주의 극복이라는 점에서 최고위원 체제를 변화시키는 건 꼭 필요하겠다 그렇게 생각을 한 거죠.

◇ 박재홍> 그런데 전병헌 최고위원의 경우 '최고위원의 구성방식을 바꾼다고 해서 계파갈등이 해결될 것은 아니다' 이런 지적도 하고 있는데요. 이런 지적도 듣고 계시죠?

새정치민주연합 우원식 의원 (사진=황진환 기자/자료사진)
◆ 우원식> 저는 그렇게 생각하지 않습니다. 저도 지난번에 최고위원을 해봤는데요. 정말로 제가 강원도나 이런 데 가서 선거 치르기가 굉장히 어렵더라고요, 잘 모르기 때문에. 그 분들도 저를 잘 모르고, 제가 전국적인 인물도 아닌데요. 당 대표는 좀 다릅니다. 전국적인 인물이기도 하고. 최고위원은 그렇지가 않거든요. 계파에 의존해서 하기 때문에 선거 끝나고서 자꾸 계파에 매이게 됩니다. 그런 것들을 극복하자는 거예요. 그러니까 권역별로 새로운 권역 대표를 뽑아서 그분으로 하여금 새로운 리더십을 발휘하게 하자는 것, 선거가 달라지면 계파성보다는 대의성이 훨씬 강화될 수밖에 없습니다.


◇ 박재홍> 그래서 지역과 세대, 계층을 대표하는 지도부를 구성할 거다, 이런 안을 내놓으신 거잖아요. 그런데 추미애 최고위원의 말은 지도부가 출신 권역의 이해관계만 반영하면 그건 정치가 굉장히 후퇴한 것이다, 이런 판단을 하고 있는데요.

◆ 우원식> 경상도에서 뽑혀 올라온 지도부라고 경상도 이해만 반영합니까? 새정치민주연합의 당원으로써 새정치민주연합이 지향하고 있는 당헌당규에 맞는 자기 활동을 하는 거죠. 거기에다가 지역의 목소리까지 함께 올라오면 당이 굉장히 민주적이고 권한이 분산되고, 지역까지 분권이 되는, 그런 효과를 가져올 수 있는 겁니다. 지역에서 올라온다고 해서 지역만 대표한다고 하는 건, 그 지역 대표에 대해서 굉장히 무시하는 발언이라고 저는 생각합니다.

◇ 박재홍> 선출직 최고위원에 대한 비판이 계파의 이익을 반영한다, 이렇게 말씀을 하시는 건데. 반대로 선출로 뽑힌 최고위원이기 때문에 계파 이익만 반영하냐, 이런 반론도 할 수 있을 것 같은데요.

◆ 우원식> 저도 그 얘기는 맞다고 생각합니다. 선출된 분들이기 때문에 대의성을 갖고 있습니다. 그런데 선출과정이 계파에 굉장히 많이 의존할 수밖에 없기 때문에 대의성보다는 계파성이 더 강하다, 이걸 계파성보다는 대의성이 더 강한 지도부로 만들어야 되겠다는 게 이번 변화의 핵심입니다.

◇ 박재홍> 그러면 언제 적용되나요? 4월 총선 직후부터 적용됩니까?

◆ 우원식> 그건 내년 4월 총선 끝나고. 어차피 우리 당이 대선체제로 들어가기 위해서 총선 끝나고 아마 전당대회를 할 수밖에 없을 겁니다. 그 시기에 그렇게 바꾸자는 거죠.

◇ 박재홍> 문재인 대표도 같이 물러나게 되는 건가요?

◆ 우원식> 네, 당연히 그렇습니다.

◇ 박재홍> 사실상 대표 임기가 줄어버린 거네요?

◆ 우원식> 네. 새로운 당헌을 이번 7월 20일에 만들고, 그 다음 9월 중앙위원회에서 완전히 당헌당규를 갖추기 때문에 새로운 헌법이 생기는 거거든요. 그것에 맞춰서 총선 후라고 하는 유보기간을 둬서 유보하는 거거든요. 그리고 나면 총선 후에는 새로운 헌법에 맞는, 새로운 당헌에 맞는 지도체제를 구성하는 거죠.

◇ 박재홍> 그렇군요. 박주선 의원은 또 이런 지적을 하네요. 혁신위 내부가 친노계파가 60%에서 70%를 차지하고 있기 때문에 수적 우위를 점하고 있다, 그래서 소수계파나 무계파 의원들의 의견이 채택이 안 되고 있다라는 지적도 있는데요.

◆ 우원식> 그건 전혀 아닌데요. 저만 보더라도 제가 11명의 위원 중에 물론 N분의 1입니다마는 현역 국회의원입니다. 그러니까 아무래도 거기서 제가 해야 할 역할이 많은 거죠. 국회의원들 대변하는 건데. 저는 그런데 지난번 대선 때 문재인 대표를 돕지 않고 손학규 대표를 도왔습니다. 제가 친노입니까? 친노면 문재인 대표를 도왔어야죠. 그건 혁신위원회에서 내놓는 안이 마음에 안 들면 나는 못 받아들이겠다고 하는 그런 말씀이라고 저는 들려요. 그렇지 않은 걸 너무 과도하게 친노라고 하는 굴레를 씌워가지고 아무 역할도 못하게 하면 그건 너무나 당에 대해서는 해당적입니다.

◇ 박재홍> 혁신안에 대해서 친노, 비노, 무계파 다 비판하고 있잖아요. 전권을 줬더니 월권을 한다 이런 지적도 있는데. 이 혁신안들이 관철될 수 있을까요? 어떻게 보십니까?

◆ 우원식> 저희들이 내놓는 안이 어느 계파에 의지해서 또 어느 계파에 유리하게 하는 게 아닙니다. 저희들이 어제 내놓은 3대 원칙, 하나는 계파주의를 극복하고, 권력을 분산시키고, 향후 공천에 있어서 시스템 공천을 하겠다, 이 세 가지거든요. 그렇게 하니까 모든 계파들이 불편합니다. 그런 점에서 보면 각 계파들이 저희들을 비판하고 있는 거죠. 비판하는 내용이 그런데 계파마다 다 다릅니다. 다 다르기 때문에 이걸 공중분해시킬 수도 있습니다마는, 또 다른 면을 보면 다 다르기 때문에 서로 동의할 수 있는 면도 생기는 거죠. 우리 당의 여러 가지 상황들을 볼때, 어제 문재인 대표나 이종걸 원내대표도 이야기했습니다마는, 견해가 좀 다른 점도 있지만 혁신위 안에 대해서 존중하겠다 이렇게 이야기를 하셨고. 저는 잘 될 거라고 봅니다.

◇ 박재홍> 마지막 한 질문만 더 드리죠. 유승민 원내대표가 사퇴를 했는데요. 이 사퇴에 대해서 국회법상 야당이 동의를 해 줘야 한다 이런 지적도 나오고 있는데요. 이 대답만 짧게 듣겠습니다.

◆ 우원식> 어제 사퇴 결정은 2015년 대한민국에서 박근혜 대통령과 새누리당이 도대체 우리 정치를 어디까지 초라하게 만들 건지, 정말 왕조시대 사극을 보는 것 같은 충격을 느꼈는데요. 유승민 원내대표가 운영위원장을 맡고 있기 때문에 운영위원장까지 내려놔야 다 끝나는 거거든요. 그런데 저희가 여기에 협조할 이유는 전혀 없습니다.

◇ 박재홍> 그러면 당론으로 협조 안 하겠다 정해진 겁니까?

◆ 우원식> 그런 건 아닌데 제 생각이 그렇다는 거예요.

◇ 박재홍> 알겠습니다. 말씀 여기까지 듣죠. 고맙습니다. 새정치민주연합 혁신위원인 우원식 의원이었습니다.

[박재홍의 뉴스쇼 프로그램 홈 바로가기]

실시간 랭킹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