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와대가 수정된 국회법 개정안에 대해 거부권을 행사할 것이란 전망이 지배적인 가운데, 예상되는 갈등을 최소화해 연착륙하기 위한 방안 모색에 나선 것이다.
김 대표는 지난주부터 "국회법 개정안에 강제성이 없으므로 위헌이 아니다"란 지금까지의 입장에서 미묘한 변화를 보였다. 정부의 입장에 맞춰서 할 수 밖에 없지 않느냐며 사실상 거부권 행사시 국회법 개정안 중재안 재의결을 포기할 것임을 시사한 것으로 해석되고 있다.
김 대표의 이같은 행보는 청와대와 각을 세워 온 유승민 원내대표에게는 직격탄이다. 한마디로 '우군의 변심'으로 보일수 있기 때문이다. 또 김 대표가 청와대의 뜻에 휘둘리는 것 아니냐는 비판이 나오는 이유이기도 하다.
이에대해 새누리당 한 비박계 의원은 "지금은 김무성 대표가 청와대와 각을 세우기가 어려운 시점이다"라며 "청와대와 유 원내대표 간 갈등으로 비춰지는 것을 수습하려 한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이런 가운데 김 대표가 지난 21일 저녁 친박계 의원을 포함한 일부 의원들과 만남을 가졌다는 사실이 알려지면서 이러한 목소리는 더욱 힘을 얻었다.
일각에서는 회동의 시점 등을 고려할 때 국회법 개정안 중재안과 유 원내대표의 거취 관련한 이야기가 오고 갔을 것이라는 예측이 나온다.
한 새누리당 의원은 "김 대표는 유 원내대표가 모든 책임을 지고 사퇴하기를 바라지 않을 것"이라며 "거부권 행사가 확실시되는 만큼 이후 (예상되는) 갈등 수습을 위해 의원들을 먼저 설득하려 한 시도로 본다"고 설명했다.
또다른 새누리당 재선 의원은 "김 대표가 당내 갈등을 재빨리 수습해야 한다는 생각이 크다. 무엇보다 박근혜 정부가 이제 절반밖에 못 왔는데 벌써부터 당청·당내 갈등에 발목이 잡혀서는 안된다는 생각이 강한 것 같다"고 분석했다.
내년 4월 총선을 1년도 채 남겨놓지 않은 시점에서 당내 분열이 가속화되면 결국 함께 망한다는 위기의식도 크게 작용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김 대표 개인의 정치적 득실을 생각했을 때도 유 원내대표가 사퇴하지 않는 편이 더 유리하다는 분석도 있다.
유 원내대표와 청와대 사이에서 중간자적인 입장을 취하는 것이, 이미 '저격수'가 돼 버린 유 원내대표 없이 청와대와 긴장관계를 유지하는 것보다는 유리하다는 판단을 했다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