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일 의료업계에 따르면 삼성서울병원 메르스 감염자들은 음압격리병상(음압병상)이 아니라 공조설비로 음압(陰壓) 상태를 조성한 일반 격리병실에서 치료를 받고 있다.
음압병상이란 병실 내부의 기압을 외부(복도)보다 낮은 상태로 유지, 공기의 흐름이 항상 외부에서 내부로 향하도록 만들어 내부의 병원체가 외부로 흘러나가는 것을 차단하는 특수 격리병실을 말한다.
단순히 음압상태만 맞추면 되는 것이 아니라 외부와 병실 사이에 '전실'(前室)이라는 완충 공간을 마련해 음압병상의 문을 열 더라도 병실 내부가 곧바로 외부공간에 노출되지 않도록 하는 등 여러 가지 조건과 기준을 충족시켜야 한다.
메르스 확진자를 진료하는 대형병원과 전국의 거점병원에는 대부분 음압병상 설비가 있지만 삼성서울병원에는 정식 음압병상이 하나도 없다.
국내 유일한 임신부 감염자인 109번 환자(39)를 포함한 삼성서울병원의 메르스 감염자들은 공기공급량을 조절해 음압 상태로 만든 일반 격리병실에 입원 중이다.
공조시스템에서 병실 내부로 주입되는 공기공급량을 외부보다 줄이는 방식으로 음압을 걸어 내부 공기가 외부로 빠져나가지 않게 한 것이다.
삼성서울병원은 현재 진료와 격리 목적으로 약 300병실을 음압 시스템 병실로 운영하고 있다.
메르스는 공기감염이 아니라 비말(침방울, 콧물)이나 오염된 물체와 접촉으로 전염되는데다, 삼성서울병원에는 위중한 감염자가 없기 때문에 음압병상이 필수는 아니다.
삼성서울병원의 한 관계자는 "우리 병원의 격리병실이 정식 음압병상은 아니지만 공조시스템으로 음압 상태를 만들어 환자를 진료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러나 감염내과전문의 병원장이 이끄는 국내 최고 수준의 병원에 정식 음압병상이 없다는 사실은 의외로 받아들여진다.
음압병상은 운영에 상당한 공간과 비용, 전문성이 필요하기 때문에 수익성에는 도움이 되지 않는 시설이다.
보건복지부 중앙메르스관리대책본부 긴급대응팀의 한 전문가는 "삼성서울병원에 음압병상이 없다는 사실을 이번에 처음 알았다"면서 "소속 의사(35번 환자)가 확진 판정 후 다른 의료기관에 보내진 것도 음압병상이 없어서 일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