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삼성문화재단 이사장직, 기득권 확보 도구화 우려
- 상장차익에 대한 사회 환원 없으면 경영권 승계 지지 힘들 것
- 삼성전자의 실적 환경 불리, 이재용에 대한 보수적 평가 필요
■ 방송 : CBS 라디오 <박재홍의 뉴스쇼> FM 98.1 (07:30~09:00)
■ 진행 : 박재홍 앵커
■ 대담 : 정선섭 (재벌닷컴 대표)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의 삼성그룹 경영권 승계 작업이 지금 속도를 내고 있습니다. 자산이 300조에 이르는 글로벌 기업 삼성그룹 이재용 부회장의 경영권 승계. 이렇게 진행돼도 문제는 없는 것일까요. 재벌닷컴의 정선섭 대표와 짚어보겠습니다. 대표님, 안녕하세요.
◆ 정선섭> 안녕하세요.
◇ 박재홍> 삼성그룹의 경영권 승계 작업, 현재 어느 정도 이루어진 상황인가요?
◆ 정선섭> 우리가 경영권 승계라고 하면, 오너십 즉 대주주권이 승계되는 것과 회장이나 직위가 승계되는 이 두 가지 형태로 볼 수가 있는데. 그런 점에서는 아직까지는 두 가지 다 가시적으로 나타난 건 없고요. 다만 최근에 삼성문화재단 이사장을 맡아서 경영권 승계가 앞으로 가시화될 것이다라는 예측이 나온 상황이고요. 초입 단계다, 공식적으로는 그렇게 볼 수가 있겠죠.
◇ 박재홍> 그렇군요. 공식적으로는 초입단계다. 그러면 올해 말까지 승계를 마무리하겠다는 것이 삼성그룹의 입장인데, 가능할까요 그러면?
◆ 정선섭> 그건 삼성의 희망사항이고요. 이제 가장 중요한 삼성SDS 상장차익 논란이라든가 이런 변수가 남아 있어서, 삼성도 아직은 좀 머리가 아픈 그런 상황인 것 같아요.
◇ 박재홍> 그렇군요. 삼성의 희망사항이다, 이런 말씀을 하셨는데. 그러면 좀 걸림돌이 좀 많다, 이렇게도 보시는 건가요?
◆ 정선섭> 그렇죠. 걸림돌이라고 하는 것이 가장 큰 것이 지금 지분을 승계한다 이런 점보다도, 어떻게 사회적인 어떤 지원, 지지 이런 것들을 끌어낼 것인가 이런 변수가 가장 크다고 봐야 되겠죠.
◇ 박재홍> 사회적 비난이나 지지 이런 말씀은, 그러니까 그동안 경영권 승계 과정에 있었던 불법과 편법 논란들, 이런 걸 말씀하시는 것 같네요.
◆ 정선섭> 그렇죠. 그동안에 사실은 편법적인 방법으로 이루어진 점은 없지는 않았죠. 삼성도 이것은 스스로 인식하고 있는 것이고. 삼성이 가지고 있는 고민이 가장 큰 것이 그것이죠.
◇ 박재홍> 그러니까 말씀하신 편법 논란들이, 지금처럼 간다면 다시 얼마든지 불거질 수 있다, 이런 점을 지적하시는 것 같네요.
◆ 정선섭> 그렇죠. 1996년도에 처음 승계 작업 절차가 시작됐었는데, 당시에 제일모직이죠. 지금 그러니까 과거에는 삼성 에버랜드입니다마는, 그것의 전환사채를 헐값에 인수를 해서 판 논란도 있었고. 그 다음에 2000년대 들어와서는 삼성SDS의 주식을 저가에 인수했던 문제들이 계속 남아서, 최근에는 야당쪽에서 이제 법안도 제출하고 상장차익에 대한 불법 이익 환수를 해야 한다, 이런 법안도 제출하고 있는 이런 상황이기 때문에, 삼성으로서는 이 문제가 가장 큰 고민거리다, 이렇게 우리가 볼 수가 있죠.
◇ 박재홍> 말씀하신 새정치민주연합의 박영선 의원이 발의한 일명 ‘이학수법’을 말씀하시는 것 같고, 그래서 불법적으로 얻은 이익은 환수해야 한다, 이런 지적도 사회적으로 일고 있는데. 그러면 삼성이 이런 문제들을 어떻게 풀어야 된다고 보십니까?
◆ 정선섭> 사실은 우리가 따져보면 그동안의 삼성측 주장도 일리는 없지 않아요. 상장차익이라든가 혹은 편법적인 차익에 대해서 그동안 과세도 몇 번 있었고 또 우리가 잘 알다시피 2009년에는 세무조사까지 당해서 한 1700억 정도의 세금도 냈습니다마는, 중요한 것은 이번에 상장을 이제 작년과 재작년에 연이어서 하면서 거의 10조원 이상의 상장차익이 났단 말이에요. 이런 부분 때문에 사실은 사회에서는 편법적인 어떤 재산이동이다, 이런 인식이 강하다는 것입니다. 이런 사회적 인식을 어떻게 삼성이 소화하고 또 그것을 충분하게 국민들로부터 지원을 받느냐 하는 문제인데, 이런 점은 저는 개인적으로는 상장차익에 대해서 사회에 환원하는 문제를 적극 검토해야 한다고 보는데. 삼성은 또 난감하다, 이런 입장들일 것이죠.
◇ 박재홍> 그러니까 ‘이학수 특별법’ 같은 법안으로 불법 이익 환수를 하는 방법도 있겠지만, 그 이전에 결자해지의 자세로 삼성이 사회적 책임을 감당하는 모습도 필요하다, 이런 말씀이시네요.
◆ 정선섭> 그게 더욱 더 중요하다고 봅니다. 그래야 국민들도 이재용 부회장의 승계에 대해서 사실상 묵시적 동의를 할 것이고, 단순히 독단적인 경영승계의 작업을 진행할 경우에는 그것이 가져올 파장 또 사회적인 불평등성도 굉장히 제기될 수 있는 상황이죠.
◇ 박재홍> 조금 전에 초반에 이재용 부회장이 삼성문화재단 이사장으로 취임했다, 이런 말씀도 하셨는데요. 그러면 이런 문화재단 이사장 취임이 이러한 사회적 환원도 고려하고 있는 포석이다, 이렇게 볼 수가 있을까요?
◆ 정선섭> 그건 사실은 이쪽 주머니에 있는 돈을 이쪽 주머니에 옮겨가지고 자기의 기득권을 확보할 수 있는 그런 도구로 활용된다는 점이에요. 제가 말씀드리는 것은 사회환원이라는 것이 순수하게 모두 재산을 내놓고 그 재산에 대해서 사회가 움직이게 하는 그런 형태의 사회환원을 말씀드리는 거예요.
◇ 박재홍> 그렇군요. 따라서 과거 문제됐던 부분은 사회환원 방식. 그리고 앞으로 내야 할 상속세 같은 부분은 정직하게 낸다면, 삼성이 존경받는 그룹으로 또 성장할 가능성이 있다, 이런 말씀이신 것 같네요.
◆ 정선섭> 당연하죠. 세금을 내고 재산을 승계 받고 그러한 기조 하에서 경영권을 승계 받는다. 이것에 대해서 우리가 왈가왈부할 일은 아니라고 봅니다, 현행 자본주의 법에서.
◇ 박재홍> 또 여기에 짚어야 할 점이 삼성그룹의 가족 승계 시스템 부분인 것 같아요. 이를테면 현재 이재용 부회장이 삼성전자의 부회장인 점 그리고 삼성전자 실적이 예전같지 않다는 점, 이런 부분을 감안하면 최소한 이런 부분의 검증이 필요하지 않겠느냐. 또 사회적으로 또는 시장에서의 인정이 필요한 것 아니냐 이런 지적도 있을 수 있을 것 같은데요.
◆ 정선섭> 당연하죠. 이재용 부회장에게는 조금 불행이라고 할까요. 당시에 이건희 회장의 경우에는 세계경제가 굉장히 급성장을 하던 그런 시기와 맞물려 있었습니다. 반도체가 그러했고 또 2000년대 들어와서 스마트폰이라는 어떤 시장이 세계적으로 형성되는 그 단계에서 삼성이 마케팅을 통해서 큰 성공을 거두는 그런 기반이 됐었는데, 지금은 세계 경제가 굉장히 정체되어 있거나 혹은 침체돼 있는 상황이에요. 이런 점에서 사실은 삼성으로서는 지속적인 성장을 담보할 수 없는 그런 상황이에요. 그런 점에서 이재용 부회장이 최고 경영자로서 승계를 하는 그 시점과 맞물려 있기 때문에 조금은 아마 좀 보수적으로 우리가 이재용 부회장을 평가해야 하지 않겠나 이런 점도 생각이 됩니다.
◇ 박재홍> 이러한 경제위기 상황을 어떻게 극복하느냐. 이러한 것이 성공적인 승계 작업의 중요한 포인트가 될 것 같습니다. 말씀 여기까지 듣겠습니다. 고맙습니다.
◆ 정선섭> 감사합니다.
◇ 박재홍> 재벌닷컴의 정선섭 대표였습니다.
[박재홍의 뉴스쇼 프로그램 홈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