빛의 반사율 차이를 인식하는 초분광센서를 장착한 이 드론은 창녕함안보 인근을 비행하며 녹조 등 조류의 분포를 조사했다. 조류의 특성에 따라 빛의 반사율이 달라지는 점을 활용한 장비다. 지난 여름 도입된 이 장비를 갖추는데 센서와 드론을 합쳐 2억원이 들었다.
창녕함안보에는 올초 조류감시선도 새로 도입됐다. 조류측정장치 등을 갖추고 250마력의 모터가 두 대씩 달려 최대 30노트(56km/h)를 낼 수 있는 ‘조류감시2호’는 5억7천만원짜리다.
창녕함안보 위쪽에는 계성천이 있다. 지류인 계성천이 낙동강 본류와 합쳐지기 전에 물이 습지를 통과하면서 자연 정화되는 천변저류지(물맑음 터) 조성작업도 최근 공사에 들어갔다. 윗 물부터 맑게 하자는 것으로, 조성 예산은 30억원이 넘는다. 시범사업이 완료되면 4대강의 다른 지류로 사업이 확대될 예정이다.
지난해 여름 녹조가 대거 발생하면서 수질 악화에 대한 걱정이 커지자 환경부가 적극적인 수질관리에 나섰다. 수량은 확보됐으니 이제 수질관리에 총력을 기울이겠다는 뜻이다.
이뿐만이 아니다. 4대강 사업 이후 수질과 생태관련 사후 계획을 세우는데만 예산이 2년 동안 190억원 이상 들어갈 것으로 추산된다. 앞선 중기재정계획에 이미 반영돼 있는 예산 44억원을 빼더라도 146억원이 신규 배정될 계획이다.
먼저 녹조발생 등을 최소화하기 위해 4대강 보 구간에서 적정유속을 확보하기 위한 방안을 찾는 연구에 2억5천만원이 투입된다. 또 4대강 주변 생태공원과 하천에 대한 전면 재평가 작업에 86억원 가량이 소요될 예정이다.
한마디로 4대강 사업 이후 수질 개선 등 환경분야의 뒤처리 계획을 세우는데만, 1백억원이 넘는 예산이 들어가는 셈이다. 게다가 사후 관리계획이 세워지고 난 뒤, 이를 실행하기 위해 들어가는 예산은 예측조차 할 수 없는 상황이다.
이명박 정부는 4대강 사업 당시, 사업이 완료되면 수량은 물론 수질도 좋아질 것이라고 장담했다. 이만의 전 환경부 장관은 국정감사장에 출석해서도 “(4대강 사업으로) 조류 발생이 억제돼 오히려 수질에서는 효과가 있다”고 항변했다.
그러나 현실은 전 정부의 장담과는 전혀 다른 방향으로 진행되고 있다. 수질 개선을 위해 해마다 수십에서 수백억원의 예산이 추가로 들어가고 있고, 얼마나 많은 시간 동안 이런 일을 반복해야할지도 알 수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