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리고 어제 호프집 종업원과 치킨집 배달 아르바이트를 하며 힘겹게 생계를 꾸리던 20대 청년이 스스로 목숨을 끊은 안타까운 소식이 전해졌다.
관악구 고시촌 원룸에서 보증금 100만원에 월세 39만원을 내고 생활하던 구 모씨는 호프집 종업원과 치킨집 배달일 등 가리지 않고 아르바이트를 했지만 월세를 내고 나면 생활비를 마련하기도 힘들었다.
안정적인 직장을 잡기 위해 서울로 올라왔지만 취업절벽에 가로막혀 그가 할수 있는 일은 닥치는대로 아르바이트를 하는 일 뿐이었다. 그가 스스로 목숨을 끊는 최악의 선택을 한 데는 미래에 대한 희망을 찾기 힘들었기 때문이었을 것이다.
박근혜 정부 이후 청년 고용 사정은 갈수록 악화되고 있다. 물론 정부가 손을 놓고 있었던 것은 아니다.
정부는 그동안 두차례 청년 일자리 대책을 포함해 네차례나 고용을 늘리기 위한 대책을 발표했다.
지난 2013년 12월 정부가 ′청년 맞춤형 일자리 대책′을 발표했을 당시 청년(15~29세)실업률이 7%대였다.
그리고 지난 18일 통계청이 발표한 올 2월의 청년 실업률은 11.1%로 IMF 이후 사상 최악의 수준이었다.
청년실업률이 외환위기 직후 수준으로 악화됐다는 것은 결과적으로 그동안의 청년실업 정책이 별 성과를 거두지 못했다는 걸 확인해준 것이다.
통계청은 청년층이 실제 느끼는 체감실업률은 20%가 넘을 것으로 보고 있다. 우리 사회의 청년 10명 중 2명이 일자리를 구할 수 없거나, 일하고 싶어도 일할 수 없다는 얘기다.
기획재정부는 지난 18일 이 통계 발표 직후 예정에 없던 ′청년고용정책 태스크포스(TF)′를 구성·운영하겠다고 발표했다.
20·30대 젊은층 실업과 신용불량의 앞글자를 따서 만든 ‘청년실신’이라는 신조어까지 등장했다. 청년실업이 얼마나 사회적으로 심각한 상황인지 짐작할 수 있는 부분이다.
'88만원세대’ ‘삼포세대’에서 ‘오포세대’ ‘청년실신’(청년실업자+신용불량자) ‘인구론’(인문대 졸업생 90%는 논다)에 이르기까지 수많은 신조어가 그 심각성을 반영하고 있다.
박근혜 대통령은 어제 청년 고급 인력의 중동 진출과 관련해 우리나라에 청년이 텅텅 빌 정도로 적극적으로 나서야 한다고 말했다.
국내를 포기하는 것은 아니지만 청년들이 지금이라도 빨리 해외에서라도 기회를 가질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한다고도 했다.
하지만 취업절벽 앞에 놓인 청년들에게 이는 전혀 대안이 되지 못한다. 일부 극소수의 전문직 청년에게나 해당하는 말이다.
정부는 청년 취업을 국정의 최우선 과제로 삼고 특단의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 정년 60세 연장이 의무화되는 내년부터는 청년들의 취업절벽이 더욱 심각해질 게 분명하다.
가장 활력있게 경제활동을 해야할 청년 시기에 일자리를 구하지 못한다는 것은 국가적 재앙이다.
이제 정부 뿐 아니라 여야 할 것 없는 정치권, 그리고 기업과 노동계까지 이 문제의 심각성을 인식하고 일자리 나눔을 비롯한 청년 일자리 대책 마련에 함께 나서야 한다.
우리 젊은이들이 가난의 굴레를 벗어나지 못한 채 그리고 미래에 대한 희망까지 갖지 못한 채 스스로 목숨을 끊는 비극은 다시는 없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