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 대표는 3일 국회 교섭단체 대표 연설에서 "증세 없는 복지는 불가능하며, 정치인이 그러한 말로 국민을 속이는 것은 옳지 못하다"고 말했다. 박근혜정부의 복지정책의 근간인 '증세없는 복지' 기조를 정면 부인한 것이다.
그는 또 '건강보험 체계 개편철회' 문제와 관련해 "충분한 고민 없이 정책을 쏟아내고 조변석개하는 행태를 보여서는 절대 안 된다. 부처에서 일방적인 연기를 발표하면서 국민의 신뢰를 잃어 버렸다"고 질타했다.
나아가 "대통령과 당 대표간 정례회동을 통해 소통을 강화하고, 국정이 원활히 돌아가도록 하겠다"거나 "앞으로 당이 주도해서 고위 당·정·청 회의를 수시로 열어 국정 현안을 효율적이고 신속하게 풀어 나가겠다"고 선언했다. '소통에 나서라'고 청와대를 압박한 것이다.
같은 날 유 원내대표도 CBS에 출연해 "증세 없는 복지는 가능하지 않다. 증세를 한다면 당연히 가진 자한테 세금을 더 부과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청와대에 끌려가는 것보다 당이 정책 중심, 국정운영의 중심이 돼야 한다", "대통령이 국민들의 목소리를 충분히 반영한 인적 쇄신안을 내놨으면 좋겠다"고 지원사격에 나섰다.
새누리당 대표와 원내대표가 연일 국정기조의 쇄신을 앞세워 제 목소리를 낸 경우는 거의 없었다. 김 대표만 해도 지난해 7월 취임한 이래 '개헌 봇물론'을 꺼냈다 고작 하루 만에 번복하는 등 청와대 눈치를 보는 형편이었다.
그러나 '청와대 비선 의혹'에 이은 '연말정산 파동'으로 민심이 등 돌리면서 양상이 달라졌다. 게다가 내년 총선에 생사가 걸려있는 의원들이 지지를 받아 유 원내대표가 취임하면서 상황변화에 가속이 붙었다.
이런 와중에 대통령 국정 지지율은 하락세가 계속되고 있고, 원내대표 경선에서 참패한 친박계가 전열정비를 못하고 있는 상황이어서 청와대의 즉각적 반격 가능성도 낮다. 이에 따라 당청관계에서의 우위를 점하기 위한 새누리당 투톱의 시도는 계속될 전망이다.
당 관계자는 "당대표나 원내대표가 계파의 이익을 대변한 게 아니라 트집 잡을 부분이 없고, 대놓고 호통이 아니라 '박근혜정부의 성공을 돕겠다'면서 점잖게 말했다"며 "당분간은 청와대가 당의 건의를 듣는 식으로 대응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