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 장관은 8일 한국방송기자클럽 초청토론회에서 "역사를 세 가지, 네 가지, 다섯 가지 이렇게 가르칠 수는 없다"며 "학생들에게는 채점을 해야 되는 교실에서 역사를 한 가지로 균형있게, 권위있게 가르치는 것은 국가 책임이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또 "역사만큼은 교육 과정에서 분쟁의 씨앗을 심고 여러 가지 갈래가 갈라지는 일은 없도록 하겠다"며 "구체적인 방법을 어떻게 할까는 어려운 부분이기 때문에 심도있는 공론화 과정을 거치고 있다"고 설명했다.
한국사를 국정교과서로 추진하겠다는 표현을 쓰지는 않았지만 사실상 국정화로 가겠다는 의지를 밝힌 것이다.
하지만 역사교과서를 국정교과서로 하겠다는 것은 독재국가에서나 있을 법한 시대착오적 발상으로 시대에 역행하는 일이다.
역사 교과서는 수학이나 과학 교과서와는 다르다. 딱 부러지는 정답이 없다. 보는 관점에 따라 얼마든지 해석이 나올 수 있고 그런 다양한 해석이 존재할 수 밖에 없다.
역사교과서를 국정화하겠다는 것은 역사 인식에 대한 다양성을 배격하고 획일적 사고를 갖도록 하겠다는 발상이다.
더욱이 교과서의 국정 체제는 창조적인 인간형, 융합형 인재를 키운다는 교육 목표에도 부합하지 않는다.
창조적인 사고를 갖고 다양성을 존중하는 인재를 키워야할 교육당국이 획일적 사고를 강요하는 국정교과서를 도입하겠다는 발상 자체가 시대착오적이다.
OECD 국가 어디에서도 역사교과서를 국정화하는 나라가 없으며 북한이나 베트남 등 극소수 국가에서만 채택하고 있다.
우리나라도 과거 유신독재 시절 국정교과서를 도입했던 것을 민주화 이후 검인정 체제로 바꾼 것이다.
일선 학교와 학계에서도 국정교과서 추진에 반대하고 있다.
전국역사교사모임 소속 교사 97%가 역사교과서의 국정화에 반대하고 있고 초등교사 1천3백여명도 한국사 국정화 중단을 요구하는 선언문을 발표했다.
한국사 관련 학회에 이어 서양사 관련 10개 학회도 최근 “정부가 국정교과서를 만들어 ‘국론통일’이란 이름으로 역사의식과 기억을 획일화하고자 하는 것은 전체주의적 횡포”라고 비판했다.
국가가 교육을 통제해 사람들의 생각을 특정방향으로 유도하는 일은 전체주의 국가에서나 가능한 일이다.
교육부가 역사교과서의 국정화에 매달리는 것은 박근혜 대통령의 의지 때문인 것으로 알려져있다.
교육은 누가 대통령이 되던 흔들리지 않고 기본을 잃지 말아야 할 백년지대계다.
아무리 대통령의 의지라 하더라도 바람직하지 않은 일이라면 교육부 장관의 직을 걸고서라도 직언을 통해 막아야할 일이지 국정화를 위한 군불지피기에 나서는 것은 책임있는 교육부 장관의 모습은 아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