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정부의 관피아 척결 선언에도 불구하고 논란이 돼 온 관료 출신 사외이사에 대한 금융업계의 선호도는 바뀌지 않은 것이다.
24일 기업 경영성과 평가사이트 CEO스코어가 조사한 결과 88곳에서 올해 신규 선임된 120명의 사외이사 중 관료 출신은 47명(39.2%)에 달했다.
관료츌신이 학계(25.8%), 재계(20%), 언론(9.2%)을 제치고 1위였다.
자산 2조 원 이상 금융사에서 활동하고 있는 총 339명의 사외이사 중 관료 출신은 125명으로 전체의 36.6%에 달했다.
2년 전인 2012년 3분기말과 비교하면 전체 관료 출신 비중이 38.1%에서 1.5%포인트 소폭 낮아졌지만 여전히 전체의 3분의 1 이상이 '관피아'로 채워지는 관행이 바뀌지 않고 있다.
학계는 104명으로 31%를 차지했고, 이어 재계(64명, 19%), 언론(21명, 6%), 법조(8명, 2.4%) 등이 뒤를 이었다.
◈ 기재부 사외이사 최다…'바람막이' 논란
관료 출신 사외이사 125명의 전 근무처는 기획재정부가 34명(27.2%)으로 가장 많았고, 법원·검찰 등 법조 출신이 25명(20%)으로 그 다음을 차지했다.
이어 금감원 출신이 13명(10.4%)이었고, 한국은행이 8명(6.4%), 청와대가 7명(5.6%) 순이었으며 산업은행이 5명, 국세청 4명, 감사원과 산업통상자원부가 각각 3명씩이었다.
관료와 학계 출신을 합친 비중은 67.6%로 2년 전과 비슷해 정부의 관피아 척결 노력에도 불구하고 금융권 사외이사의 관료와 학계 편중현상도 여전했다.
관료 출신 사외이사 비중이 가장 높은 곳은 동부생명보험으로 3분기 말 사외이사 3명 전원이 관료 출신이었다.
양수길, 유재성, 이문석 사외이사가 각각 청와대, 부산지검, 총무처 장관 출신이며 2012년 3명 중 1명이던 관료 출신이 올해는 3명으로 늘었다.
삼성생명보험은 4명 중 3명, 경남은행·교보증권·농협금융지주·동부화재해상보험·KDB캐피탈·유진투자증권 등은 3명 중 2명이 관료 출신이었다.
BS금융지주와 현대증권은 5명 중 3명이 관료 출신이었고, IBK캐피탈, SK증권, 기업은행, 대우증권, 롯데카드, 삼성증권, 삼성화재해상보험 등도 사외이사의 절반이 관료 출신으로 채워졌다.
4대 시중은행 중에서는 하나은행이 6명 중 3명(50%)으로 관료 출신 비중이 가장 높았고 내년 3월 사외이사 전원이 사퇴를 결정한 국민은행은 5명 중 2명(40%), 신한은행과 외환은행은 각각 6명 중 1명(16.7%)이 관료출신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