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각각 추정치만큼 이들의 '학업중단 이후'의 삶 역시 제대로 알려지지 않고 있다. 대안교육기관이나 유학, 교정시설 등을 통해 일부나마 '드러나는' 아이들은 전체의 절반이 채 안 되는 실정이다.
나머지 아이들은 어디서, 무엇을 하고 있을까.
대전CBS는 학교를 떠난 뒤 잊힌 아이들을 찾아 직접 이야기를 들어봤다. 외부에 비춰진 것이 아닌, 아이들 스스로 꺼낸 '학교 밖 청소년'의 모습과 고민들을 7차례에 걸쳐 싣는다. [편집자 주]
<글 싣는 순서>
1. "교문 나선 순간부터 '투명인간' 된 우리들"
2. 떠난 이유 달라도‥모두 '학교 부적응자'
3. "학교 싫어 그만둔 아이들? 절반은 쫓겨난 아이들"
4. "우리도 공부하는데"‥학업중단이라는 '낙인'
5. 시설은 기다리고, 아이들은 모르고‥'엇박자' 지원
6. 학교 밖 세계도 '양극화'
7. "우리에게도 '재기의 기회'를 주세요"
많은 학교 밖 청소년들은 막막한 상황에서 편하게 찾고 기댈 수 있는 곳을 바랐다.
그런데 현실에서 아이들은 이런 곳이 없다고 말하고, 이런 역할을 하는 기관·시설들은 도와줄 아이들을 찾을 수 없다고 말하는 '이상한 현상'이 벌어지고 있었다.
아이들은 "물어볼 데가 없다"는 말을 많이 했다.
학교 밖으로 나온 뒤 궁금한 게 많지만, 딱히 떠오르는 곳도 없고 편견어린 시선부터 마주할 때가 많다보니 낯선 곳은 더 어렵다고 했다.
현아(가명·19·여)는 "예전보다 사람을 더 못 믿게 돼서 그런지 고민이 있어도 선뜻 남에게 말을 못 꺼내게 된 것 같다"고 말했다.
태민이(가명·18)도 "아무래도 혼자 가긴 그렇다"고 했다.
"선생님에게 '잠깐만. 언제 언제 날짜 정해줄게'라는 말을 제일 많이 들었어요. 정작 하려던 말은 못 하고..."
형수(가명·19)는 어렵게 한 곳을 찾았지만 형식적으로만 대하는 것 같았다고 했다. "시간만 채우는 느낌? 별로 이해해주신다는 생각이 안 들었어요."
반면 성문이(가명·19)는 우연히 가게 된 상담실에서 큰 도움을 받았다고 했다.
"주위에 아무도 없는 거 같고, 친구들은 같이 있어봐야 말뿐이고... 하고 싶어도 제대로 하지도 못하고 가정환경도 힘들고 막막한 거예요. '되게 외로워 보인다. 외롭지 않냐' 하시는데... 거기서 많이 울었어요."
성문이는 "공감해주고 실질적인 도움도 받을 수 있는 곳인데 홍보도 그렇고 너무 딱딱하다. 좀 더 친근한 이미지가 된다면 많이 갈 텐데..."라며 안타까워했다.
◈ 시설들의 속사정
먼저 다가오지 못하는 아이들을 시설들은 왜 '기다리기만' 하는 걸까.
그들에게도 속사정이 있었다.
김계명 대전시청소년상담복지센터 소장은 "현재 학교 밖으로 나오는 아이들에 대한 부처 간 정보 공유가 안 되고 있어 아이들을 파악하는데 어려움이 많다"고 말했다.
학생, 즉 '교육부' 소관이었던 아이들은 학교를 떠나면서 청소년 정책을 총괄하는 '여성가족부'로 넘어가게 되는데, 이 과정에서 아이들의 현황과 학교를 떠나게 된 사유, 필요한 지원 등에 대한 연계는 제대로 이뤄지지 않고 있다.
김 소장은 "주로 소년원이나 보호관찰소, 법원, 경찰, 학교 등에서 의뢰하는 아이들을 맡는 경우가 많다"며 "부동층을 발굴하는 게 우리로서도 가장 고민"이라고 호소했다.
'보이는 문제를 일으키지 않는' 아이들이 오히려 사각지대에 놓이게 되는 셈.
현장에 직접 나가 도움과 정보를 제공하는 '아웃리치'나 '청소년 동반자'와 같은 활동이 있지만, 문제는 턱없이 부족한 인력이다.
청소년 쉼터의 한 관계자는 "현장 인력의 수와 역량은 제자리걸음인데 맡겨지는 학교 밖 아이들만 급속도로 늘고 있는 상황"이라며 "청소년 지원을 하는 곳들끼리도 교류가 적어 효율성이 떨어지는 편"이라고 털어놨다.
"지금처럼 학교 안 따로, 학교 밖 따로 식의 제각각 접근으로는 한계가 있습니다. 예방부터 사후 대책까지, 지역의 정보와 자원에 대해 중심 역할을 하는 '허브센터'가 필요합니다."
한 민간 대안교육기관 관계자는 "일부 시설은 청소년 지원 사업한다고 정부나 지자체 보조금은 받았는데 정작 아이들은 없다보니, 아이들 좀 보내달라고 다른 곳에 요청하거나 실적을 채우기 위해 아이들에게 '한 번 오면 세 번 온 걸로 쳐줄게'라고 하기도 한다"며 관리 부실을 꼬집기도 했다.
◈ '역할 얹기·중복 설치'‥여전히 주먹구구식 대책
여성가족부는 최근 지역별 '학교 밖 청소년 지원센터' 설치 및 지정에 착수했다.
앞서 시설들이 요구해온 '허브센터' 역할을 하는 곳이다.
여가부는 "현재 각 지자체가 운영하고 있는 청소년상담복지센터를 학교 밖 청소년 지원센터로 지정하게 되면, 별도의 센터를 신규 설치하지 않고도 학교 밖 청소년 지원 인프라를 확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힌 바 있다.
그러나 현장에서는 전문인력 확보 등 근본적인 개선 없이, 학교 밖 청소년 업무를 '얹는 식'으로 흘러가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벌써부터 나오고 있다.
겉보기에는 전국적으로 학교 밖 청소년 지원센터가 운영되는 등 그럴 듯해 보이지만, 학교 밖 청소년 문제에 주력하기 어려운 환경은 그대로인 것.
그런가하면 교육부도 대전을 비롯한 7개 지역에 '학업중단 예방센터'를 위탁해 운영하기로 했다.
역시 종합적 대책 마련을 위한 '허브센터'다.
그러니까 대전에 소관 부처만 다른 2개의 '허브센터'가 생기는 셈이다.
더욱이 9월에 지정된 학업중단 예방센터의 사업 기간은 내년 2월까지. 교육부 예산 지원이 지속적으로 이뤄지지 않으면 센터 운영은 불투명한 상태다.
현장에서 "여성가족부, 보건복지부, 교육부 등이 서로 손발이 안 맞으면서 사업이 중복으로 진행되는 경우도 많다"며 "현재의 주먹구구식 지원에서 벗어나려면 부처 간 이기주의와 장벽부터 허물어야 할 것"이라는 쓴 소리가 줄지 않는 이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