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한 중국대사 "사드는 中 목표…한중관계 나쁜영향"

추궈홍 주한 중국대사. (주한 중국 대사관 홈페이지 캡처)추궈홍 주한 중국대사. (주한 중국 대사관 홈페이지 캡처)
추궈홍 주한 중국대사는 26일 국내 '사드(THAAD·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배치와 관련해 "한국의 사드배치는 북한이 아니라 중국을 목표로 한 것이란 인상을 가지고 있다. 중한 관계에 나쁜 영향을 줄 것"이라고 반대 입장을 밝혔다.

추 대사는 이날 국회 남북관계 및 교류협력발전 특별위원회(남북관계발전특위)와의 간담회에서 "한국에 배치되는 사드가 사정거리가 2,000㎞인데, 이는 북한 미사일 방어목적을 넘어서는 거리"라며 이같이 말했다.

원혜영 남북관계발전특위 위원장은 간담회 직후 국회에서 브리핑을 하고 추 대사의 입장을 전했다.

추 대사는 불법 어로 문제와 관련해서는 "(한중 간) 해안경계 획정문제가 내년부터 시작되면 이런 문제가 없을 것"이라며 "폭력으로 인한 인명피해는 없어야 한다"고 밝혔다.


추 대사는 6자회담 재개 여부와 관련해 "의장국으로 중국은 모두가 받아들일 수 있는 6자회담 재개조건을 모색하고 있다"며 "6자회담 의장국으로서 비공식적인 논의를 하는 것도 생각하고 있다. 6자회담 재개는 미국과 남북한의 태도에 달려있다고 본다"고 말했다.

'6자회담이 시간벌기용으로 악용되는 거 아니냐'는 특위 위원들의 질문에는 "북한이 핵 포기 의사가 전혀 없다면 6자회담 테이블에 참여할 이유가 없을 것"이라며 "북한은 비핵화는 김일성과 김정일의 유훈이라고 계속 밝히고 있다. 이는 명백히 북한이 핵을 포기할 수 있다는 내용을 담은 메시지"이라고 말했다.

북한이 헌법에 핵보유국을 명기하고 있는 것에 대해선 "북한의 헌법 개정이 그렇게 어려운 것은 아니"라고 말했다.

추 대사는 유엔이 북한 인권결의안을 채택한 것과 관련해선 반대 입장을 분명히 밝혔다.

그는 "중국은 기본적으로 인권문제를 정치화하거나 압력의 수단으로 사용하는 것에 반대 입장"이라며 "중국자체가 인권문제 정치화의 가장 큰 피해자"라고 주장했다.

대북 봉쇄정책 효과와 관련해선 "제재나 고립은 북핵 해결에 도움 되지 않는다"며 "만일 북한에 문제가 생긴다면 내부적 요인 때문이지, 외부적 요인 때문은 아닐 것"이라고 말했다.

실시간 랭킹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