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 로켓 잔해 인양 … 軍 분석 작업 착수

軍, 북한 로켓 기술 상당부분 확인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

북한 장거리 로켓 잔해
북한 장거리 로켓 ‘은하 3호’ 1단 추진체 잔해가 우리 해군에 의해 인양됐다.

14일 국방부는 “12일 발사된 로켓을 처음 포착한 세종대왕함이 낙하하는 잔해가 해상에 떨어질 때까지 추적해 낙하 지점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다음 날인 13일 소해함이 음탐기를 이용해 해저 80m 지점에 가라앉아 있는 잔해를 포착했으며, 구조함인 청해진함이 수중카메라를 통해 이를 확인했다.

이날 오후 4시 55분부터 잔해를 쇠줄로 연결하는 등 본격적인 인양 작업에 들어가 14일 새벽 0시 26분 잔해를 끌어올리는 데 성공했다.


1단 추진체 잔해는 직경 2.4m, 길이 7.6m, 무게 약 3.2톤이며, 한글로 ‘은’ ‘하’ 두 글자가 표기돼 있다. 또 잔해 하단부에는 4개의 엔진에 연료를 공급하는 관이 설치됐을 것으로 추정되는 구멍 4개가 뚫려 있다.

국방부는 평택 해군 2함대 사령부로 이송된 로켓 잔해를 1차 조사한 뒤 대전의 국방과학연구소(ADD)로 옮겨 2차 정밀 분석작업에 들어갈 계획이다.

국방부 관계자는 "국방부와 합동참모본부, 육·해·공군, 국방과학연구소(ADD)의 전략무기 전문가, 나로호 개발에 참여한 항공우주연구원 전문가 등이 참여한 북한 로켓 공동조사단을 구성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 관계자는 “공동조사단에 미국 전문가들도 기술자문위원으로 참여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미국 전문가들은 옛 소련과 이란 등이 개발한 미사일을 분석한 경험자들인 것으로 알려졌다.

국방부 김민석 대변인은 "로켓 잔해를 정밀 분석하면 연료의 성분과 용량, 로켓동체 재질, 1단 로켓 추진체의 추진력 기술 등을 파악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밝혔다.

김 대변인은 "인양된 1단 로켓 추진체 잔해에는 엔진이 달려 있지 않았다"면서 "북한이 그간 미사일을 발사했지만 한 번도 잔해를 남긴 적이 없었기 때문에 이번에는 미사일 능력을 확인하는 중요한 자료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북한은 로켓 엔진 연료로 상온저장성 추진체를 사용하고 있지만 그 자세한 성분은 외부세계에 아직 알려지지 않고 있다.

1단 로켓 엔진은 노동-B(일명 무수단) 미사일 엔진 4개를 묶었기 때문에 시험발사 없이 실전에 배치된 사거리 3,000㎞ 무수단 미사일의 실체 등을 구체적으로 파악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실시간 랭킹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