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단체 "구미 사고 당시 대기 불산농도 위험 수준이었다"

경북 구미 불산화수소(이하 불산) 누출사고 당시 공기 중 불산 농도가 위험 기준치에 다다를 정도로 심각한 수준이었다는 환경단체의 조사결과가 나왔다.

환경운동연합과 노동환경건강연구소는 17일 오전 기자회견을 열고 구미4공단 불산 유출로 발생한 환경 및 노동자 피해에 대한 자체 조사결과를 발표했다.


조사결과 토양, 수질 등 환경일반의 오염 상태는 진정 국면인 것으로 파악됐지만 정부가 확인하지 않은 농작물 등은 상당히 우려스러운 수준인 것으로 드러났다.

두 단체는 지난 7일 사고지점에 인접한 산동면 봉산리에서 식물 시료 25개를 채취해 남은 불소 농도를 측정해 보니 유럽연합(EU)의 가축 먹이 기준인 30~150ppm을 크게 넘어선 107.6~9594.1ppm이 검출됐다고 밝혔다.

이 수치를 토대로 사고 당시 이들 식물 주변 대기 속 불산가스 농도를 역계산해보니 지점에 따라 한때 15ppm에 달해, IDLH값인 30ppm의 절반에 이르는 수치가 측정돼 대기 중 불산농도가 심각한 수준이라고 진단했다.

ILDH는 특정한 유해물질에 노출된 피해자가 사망하거나 영구적 건강 장애를 일으킬 수 있는 농도를 뜻하는 것으로, 미국 산업안전보건연구원의 유해물질 노출기준이 되고 있다.

특히 마을 주민들이 대피했던 시간(사고 후 20분에서 6시간 후)과 탱크 벨브가 27일 밤 늦은 시간(환경부의 공식보고는 11시30분)까지 계속 열려 있었던 점을 감안할 때 고농도 수준은 상당 기간 동안 지속되었을 가능성이 매우 높은 것으로 분석됐다.

이윤근 노동환경연구소장은 "이와 같은 결과에 근거할 때 환경부에서 공식적으로 발표한 유일한 불산 농도인 1ppm(9.28일 09:30분 검지관 측정)은 당시의 상황을 지극히 과소평가했을 가능이 매우 높다"고 말했다.

이들 단체는 "이번 조사가 당시 상황을 복원할 수 있는 첫 결과물이라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며 "이번에 식물조사 대상에서 빠진 산업단지 일대에서도 불산 농도를 측정해줄 것"을 정부에 요구했다.

동시에 정부가 민간에게 위임한 건강피해조사가 산단지역 노동자 400명 정도에게만 이뤄지는 등 관련대책이 미흡할 수 있으니 이에 대한 대책을 마련해달라고 촉구했다.

추천기사

실시간 랭킹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