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람을, 시대를 아파한 인간 노무현

"특권과 반칙 없는 세상" 노 전 대통령의 삶과 꿈

3년 전 이맘때 수십 만의 인파가 서울시청 앞 광장과 세종로를 가득 메웠다.

그들은 마치 죄인처럼 눈물로 얼룩진 얼굴을 들지 못했다.

그리고 되뇌었다.

"미안합니다." "고마웠습니다." "보고 싶습니다."

2009년 5월23일 서거한 노무현 전 대통령의 추모 노제 풍경이다.

서거 뒤 일주일간 전국에서 추모객 400만 명이 노 전 대통령의 고향인 봉화마을을 찾았다.

올해도 대한민국은 그를 추모하는 열기로 가득하다.

우리는 왜 아직도 인간 노무현에게 미안해 하고, 그를 그리워하나.

ㅁㄴㅇ
'판사도 되고 국회의원도 되어 신분상승을 이룬 그가, 무엇 때문에 기득권층에 편입되는 것을 거부한 채 노동자의 벗이 되고 서민의 대변자가 되었는가.'

노 전 대통령 서거 3주기를 맞아 독립기념관장을 지낸 평전 작가 김삼웅 씨가 '노무현 평전'을 냈다.

지은이가 평전을 쓴 것은 앞의 질문에 대한 답을 찾기 위해서다.

노무현 평전은 노 전 대통령의 파란만장했던 삶과 그가 지키고자 했던 가치, 이상을 찾는 데 주력한다.

그래서 정치인 대통령 정치학자 사상가로서의 노무현에 앞서 '인간 노무현'을 먼저 짚는다.


1946년 8월6일 경남 김해시 진영읍 봉하마을에서 빈농의 막내로 태어난 노 전 대통령. 그는 학교에 들어가면서부터 가난을 피부로 느끼기 시작했다고 한다.

때문에 성적은 우수했지만 종종 선생님을 찾는, 꽤 잘 사는 부모를 둔 아이들과는 패가 갈릴 수밖에 없었다.

평전은 '노무현이 뒷날 비판적인 법조인, 거리의 변호사, 반독재 정치인이 된 것은 어릴 적의 불평등과 차별, 사회의 구조적 모순에 대한 저항심에서 비롯되었지 싶다'고 전한다.

1966년 2월 부산상고를 졸업한 그는 막노동판을 떠돌며 사법고시의 꿈을 키운다.

그는 공사판에서 일하면서 쉬는 날 친구들과 어울려 술을 마시다 흥에 겨우면 곱사춤을 추었다.

뒷날 국회의원이 돼서도 술자리 흥을 돋우고자 그 춤을 추곤 했다.

왜 하필 곱사춤일까. 탈춤인 곱사춤이 사회모순에 대한 비판정신, 지배계급에 대한 저항정신을 담고 있기 때문이리라. 평전은 이렇게 전한다.

'곱사등이(민중)의 비애와 한을 잊지 않고자 하는 그만의 다짐이요, 그 한을 풀어주고자 하는 살풀이였을까. (중략) 그 역시 국회의원이 되고 대통령이 되어서도 곱사등이와 동병상련인 비주류, 변방이었다.'

1975년 사법고시 합격 이후 인권 변호사로 활약하던 노 전 대통령이 1988년 총선으로 정계에 입문한 뒤 2002년 대통령이 되기까지. 평전은 그의 삶의 궤적이 특별히 진보적이거나 개혁적이지는 않았다고 말한다.

단지 그동안 짓밟혀 온 민주주의 국가의 기본과 공화제의 본 뜻을 바로 세우고자 했다는 것이다.

그가 생전에 남긴 말에서도 '노무현의 꿈'을 엿볼 수 있다.

"사람사는 세상은, 가난하고 배우지 못해도, 소외된 사람도 인간다운 생활을 할 수 있도록 보장해주고, 누구나 당당하게 인간적 존엄을 누릴 수 있는 세상, 공동체 안에서 자신보다 못한 사람에 대해 배려하고 연대하고 잘못된 제도를 개선하는 일들에 참여하는 세상"이라던 그 말.

실시간 랭킹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