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일 서울시에 따르면 시는 내년 5월 완공되는 중구 태평로 신청사에 142억 5천만원의 예산을 투입해 시정 홍보관인 ‘시티갤러리’를 조성하고 있다.
지하 5층~지상 13층으로 이뤄진 신청사 신관동의 지하 1·2·4층에 조성되는 시티갤러리의 면적은 7천737㎡.
서울시는 지하 1층 전체를 인트로와 문화특별시, 사람특별시, 자연특별시, 세계특별시 등 5개 존으로 나눠 서울의 역사와 현대문화, 서울시 축제, 서울의 대표 거리 등과 관련한 영상물과 패널 등을 전시하기로 했다.
또 서울을 1천500분의 1 크기로 축소한 서울역사박물관의 ‘도시모형영상관’처럼 시티갤러리에도 서울시 모형을 설치하고, 지하 2층에는 유구전시실과 4차원(4D) 영상관, 기획전시실, 한옥문화관, 카페 등을 조성할 방침이다.
문제는 서울시가 기존의 시정 홍보관조차 제대로 활용하지 못하는 상황에서 홍보관을 또 짓는다는 사실.
또 같은 해 3월 개관한 송파구 가락시장 현대화사업 홍보관의 경우 1억 8천여만원을 공사비로 썼지만, 지난해 방문객은 1만명에 그쳤다. 하루 평균 고작 36명이 다녀간 꼴이다.
해마다 이 홍보관들을 유지·관리하는데 들어가는 비용도 만만치 않다.
공사비 39억 8천여만원이 들어간 상암동 DMC홍보관은 지난해 운영비로만 3억여원을 썼고, 을지로 동대문디자인플라자(DDP) 홍보관은 공사비로 33억 7천여만원, 한 해 운영비로 3억 5천만원이나 썼다.
최근 예산낭비 논란이 일자 사업관으로 재개관한 마곡홍보관까지 포함하면 서울시 시정 홍보관은 모두 10여곳.
이 건물들을 짓는데 모두 225억원이 넘는 세금이 들어갔고, 한 해에만 운영비로 10억원 가까운 세금이 쓰여지고 있다.
이 때문에 서울시가 기존의 홍보관들을 통합 운영하거나, 신청사에 짓고 있는 홍보관의 규모를 축소해야 하는 것 아니냐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김미경 서울시의원(민주당)은 “마곡사업관과 청계천문화관 등 이름만 바꾼 채 버젓이 시정을 홍보하는 전시관들도 많다”며 “기존 홍보관들의 효율성이 떨어진다면 신청사 한 곳에서 통합 운영하는 등 대책을 강구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정헌재 시민소통담당관은 “시티갤러리는 문화와 역사 등을 전시하는 복합공간이기 때문에 홍보관보다는 서울 관련 정보를 제공하는 ‘개론서’로 볼 수 있다”며 “시티갤러리를 둘러보고 나서 궁금증이 생기면 DDP홍보관 등 보다 특화된 시설을 방문하게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