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랑이는 또 "떡 하나 주면 안 잡아먹지"하며 포악한 맹수로 돌변하고, 때로는 은혜를 갚을 줄 아는 영물로 등장한다.
2010년은 경인년(庚寅年), 호랑이띠 해다. 늠름한 기품의 호랑이는 백수의 왕이지만 우리 민족에게는 옛날이야기 속 친근한 동물이기도 하다.
삼국유사의 단군신화에서부터 88올림픽 마스코트인 호돌이, 국가대표 축구팀 엠블럼 등에도 한국의 상징으로서 역사를 함께 해왔다.
육당 최남선은 "중국의 용, 인도의 코끼리, 이집트의 사자, 로마의 이리처럼 조선에서 신성한 동물로 첫째가 호랑이였다"며 조선을 호담국(虎談國)이라고 부를 만큼 우리 설화에는 호랑이가 자주 등장한다고 언급하기도 했다.
호랑이해를 맞아 서울 경복궁 국립민속박물관에서 올 3월 1일까지 열리는 '호랑이의 변신, 신화에서 생활로' 특별전에서도 호랑이와의 깊은 인연을 찾을 수 있다.
호랑이는 주변의 나쁜 기운으로부터 우리를 지켜준다고 여겨지기도 했다. 정초가 되면 대문에 붙이는 부적에는 바람과 물, 불에 의한 재앙인 삼재(三災)를 막아준다는 의미로 머리가 셋 달린 매와 함께 호랑이가 등장했다.
조선시대 '작호도(鵲虎圖)'에는 까치가 소나무에 앉아 호랑이에게 말을 거는 모습을 볼 수 있는데, 여기서 호랑이는 보은, 까치는 기쁜 소식, 소나무는 장수를 각각 상징한다. 옛 사람들의 염원을 담은 인간적인 그림에 호랑이는 빠질 수 없는 존재인 셈이다.
국립중앙박물관 구문회 학예연구사는 "호랑이가 과거에는 귀신을 물리치는 벽사(辟邪)와 수호의 기능을 담당했지만 오늘날에는 세속적인 의미로 부귀나 권위를 기원하는 의미도 강하다"고 설명했다.
구 연구사는 또 "호돌이나 여러 엠블럼 등을 통해 호랑이가 보다 친근하고 귀여운 이미지로 우리에게 다가와 있다"고 덧붙였다.
용맹한 수호신에서 친근하고 귀여운 친구까지. 우리 민족에게 각별한 의미를 갖는 호랑이는 올 한해에 우리에게 희망 가득한 기운을 불어넣어주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