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방송 : CBS 라디오 FM 98.1 (07:30~09:00)
■ 진행 : 김현정 앵커
■ 대담 : 김영성 (신한대 식품영양학과 교수)
며칠 전 크라운제과에 유기농 웨하스에서 식중독 균이 발견됐죠. 그런데 이번에는 동서식품 아몬드 시리얼에서 대장균이 나왔습니다. 이번 사건이 더 충격적인 건 두 회사 모두, 제품에 균이 있다는 걸 사전에 알았으면서도 그냥 유통을 시켰다는 점입니다. 전문가 얘기 들어시죠.한국식품영양학회 부회장 역임하셨던 식중독 전문가세요. 신한대학교 식품영양학과 김영성 교수 연결이 돼 있습니다. 교수님 안녕하세요?
[김현정의 뉴스쇼 전체듣기]
◆ 김영성> 안녕하세요.
◇ 김현정> 그러니까 충북 진천 공장에서 제조한 시리얼에서 대장균이 발견된 걸 회사도 사전에 알았다는 거죠?
◆ 김영성> 그렇습니다. 회사에서 알고 있는 것을 사용했다고 하는 보도입니다.
◇ 김현정> 그런데 우리 생각에는 그걸 발견했으면 ‘폐기해라’ 이렇게 얘기를 해야 될 것 같은데, 그게 아니라 다른 공장에서 나온 시리얼에 10%씩 섞어라, 이렇게 지시를 한 거예요?
◆ 김영성> 그건 정말 안전에 대한 불감증 또는 식품 안전에 대한 생각이 굉장히 후진국형인 사건이 벌어졌는데요. 이건 식품위생법에서도 있을 수 없는 행동을 한 거라고 생각을 합니다.
◇ 김현정> 그런데 동서식품 측의 해명을 한번 들어보니까 '대장균 같은 경우에는 우리 주변 도처에 엄청나게 많이 있다. 시리얼 원재료인 곡물에도 다 들어있다, 그런 것들에 오염됐다고 해서 버릴 필요는 없다' 이렇게 주장을 하던데 어떻게 보세요?
◆ 김영성> 정말 그것도 어처구니 없는 대답을... 누가 그런 대답을 했는지 모르지만, 우선 정확하게 아셔야 될 게 대장균이라고 하는 것 자체에는 병원성은 없습니다. 대장균은 우리 대장 안에 살고 있는 균들인데요.
◇ 김현정> 지금 우리 뱃속에 다 있는 거잖아요, 대장균이?
◆ 김영성> 그렇죠. 그러나 대장균은, 질병을 일으킬 수 있는 다른 균들이 있을 수 있다고 하는 식품 위생의 ‘지표 세균’으로 사용됩니다. 그렇기 때문에 우리가 식품 위생법에서 대장균 또는 대장균군이 이렇게 검출돼서는 안 된다고 하는 지침이 있습니다.
◆ 김영성> 그렇죠. 그러나 또 대장균 중에는 병원성 대장균이라는 것도 있는데요. 96년도에 일본에서는 출혈성 대장균이 발생돼서 어린 학생들이 사망하는 경우도 생겼기 때문에, 어떤 경우라도 대장균이 검출된 걸 알고 제품에 사용했다는 것은 용서받을 수가 없는 일입니다.
◇ 김현정> 그런데 또 회사에서는 어떤 얘기를 하느냐 하면요. '완전히 포장이 끝난 제품이 아닌 경우에 대장균이 발견 되면, 살균처리해서 쓰는 건 정상적인 생산공정이다. 즉 마지막 소비자들한테 갈 때는 괜찮은 채로 갔다' 이렇게 주장을 하는데 어떻게 보세요?
◆ 김영성> 그것도 정말 무지한 생각인데요. 우리가 대장균 자체는 가열처리하게 되면 사멸될 수도 있습니다. 그러나 이 대장균만 있는 게 아니라 열에 굉장히 강한 균들이 있을 수 있고요. 균은 죽더라도 이 균들이 독소를 만들게 되면 이 독소들은 열에 대한 저항성이 강한 종류들도 있기 때문에, 쉽게 ‘가열처리 하면 다 죽으니까 원료에 사용했다’ 이렇게 말할 거라면 우리가 식품 위생이라는 걸 관리할 필요가 없습니다. 모든 식품을 원재료를 가열처리해서 사용하면 되는 거겠죠.
그러나 원료의 단계에서부터 우리 입에 들어올 때까지 모든 단계에 있어서 해썹(HACCP)이라고 하는 식품위생중점관리 기준이라는 게 있기 때문에, 이 회사는 그런 행위를 했다고 하면 우선 식품위생법에 저촉이 되는 겁니다.
◇ 김현정> 애초에 진천공장에서 대장균군이 나왔다는 얘기는 다른 균도 섞여 있을 수 있다는 얘기인데, 오로지 열처리해서 대장균만 죽였다고 해결될 문제가 아니었다. 그 제품은 폐기했어야 맞다. 이렇게 보신 거예요?
◆ 김영성> 상식적으로 이건 식품회사에 있는 사람들이 대장균이 검출됐는데도 불구하고 이걸 갖다가 식품의 원료로 사용해라. 이렇게 지침을 내리는 것은 뭔가 좀 프로세스에서 잘못됐다고 생각을 합니다.
◇ 김현정> 이거 그러면 해서는 안 되는 거 알면서도 한 건가요?
◆ 김영성> 속단할 수는 없지만, 이 많은 양의 원료를 폐기처분하게 되면 회사에 미치는 영향이라든가 책임소재라든가 이런 게 있기 때문에 이렇게 어처구니 없는 행위를 하지 않았나, 생각합니다.
◇ 김현정> 알겠습니다. 이 시리얼 사건 전에 하나가 더 있었습니다. 크라운 유기농 웨하스에서도 식중독균, 정확히는 황색포도상구균이 발견이 됐는데 우선 이 균은 어떤 균인가요?
◆ 김영성> 이 균도 공기 중에 있습니다. 이 균이야말로 공기 중에 굉장히 많습니다. 그러나 이 균이 독소를 분비하는 이런 식중독균이에요. 그래서 우리가 가열처리해서 균은 안 나오더라도 이 엔테로톡신이라고 하는 독소는 100도에서도 죽지 않아요. 그렇기 때문에 이 균이 발견된 거를 제품에 사용했다는 것은 우리 국민들을 기만하는 행위다. 이렇게 이야기할 수가 있습니다.
◇ 김현정> 그러니까 며칠 전에는 크라운 웨하스 사건, 어제는 동서식품 시리얼 사건. 보면 유독 과자류에서 발견이 됐어요. 이게 과자류에서만 이런 균이 나온 게 우연의 일치인가요, 아니면 뭔가 이유가 있는 건가요?
◆ 김영성> 우연히 일치라고 얘기할 수는 없고요. 이렇게 대형 회사에서 이런 일이 일어난다고 하면 작은 회사들은 어떨까 하는 생각을 해 봅니다.
◇ 김현정> 꼭 과자여서 벌어진 일은 아닐 것이다 이렇게 보시는 거고요? 지금 이게 식품의 어떤 군을 가리지 않고 벌어지고 있는 일은 아닌가, 이런 의심도 드세요?
◆ 김영성> 그렇습니다. 지금 총체적으로 우리나라 식품 안전에 대한 생각을 식품 제조회사도 더욱 관심을 많이 갖고 해야 되고요. 특히 보건위생을 담당하는 부서의 공무원분들이 규제를 완화한다 그래서 좀 느슨해지는 경우가 굉장히 많은데 이렇게 돼서는 안 되고요. 식품 안전에 대한, 먹거리 전반에 대한 규제는 더욱 강화를 해서 국민들이 먹거리에 대해 좀 안심하게 해야 된다고 생각합니다.
◇ 김현정> 여기까지 듣겠습니다. 교수님 고맙습니다.
◆ 김영성> 감사합니다.
◇ 김현정> 신한대학교 식품영양학과 김영성 교수였습니다.
[김현정의 뉴스쇼 프로그램 홈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