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주열 "금리인하, 좋은 효과만 있다면 왜 안 내리겠나"

정부가 오는 15일 금융통화위원회의 기준 금리 결정을 앞두고 경기 부양을 위한 금리 인하 분위기를 적극 조성하고 있다.

이주열(사진) 한국은행 총재는 그러나 "통화 정책만으로는 경제 활성화에 한계가 있다"며 금리 인하의 부정적 측면에 무게를 두는 발언을 잇따라 내놓았다.

이 총재는 9일(현지시간) 국제통화기금(IMF), 세계은행(WB) 연차 총회와 주요 20개국(G20) 재무장관, 중앙은행 총재 회의 참석차 워싱턴 DC를 방문해 워싱턴 특파원들과 간담회를 갖고 "소비와 투자 부진은 구조적인 요인에 기인하는 만큼 획기적인 구조적 대책이 요구된다"고 말했다.

이 총재는 통화 정책과 구조 개혁의 우선 순위를 묻는 질문에 "통화 정책은 인플레이션 억제에서는 빠른 효과를 나타내지만 경기 부진 때는 효과가 강하지 않다"고 설명했다.

이 총재는 특히 "금리 인하가 좋은 효과만 있다면 왜 금리를 안내리겠느냐"며 "금리 조정에 따른 득실을 살펴봐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금리가 내려가면 기업과 소비 심리 개선에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이지만 가뜩이나 많은 가계 부채를 확대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가계 부채의 경우 소득 증가율을 웃돌고 있어 잘 관리해야 할 상황이라고 덧붙였다.


또 "국제금리가 오를 가능성이 있는 가운데 국내 금리가 내려간다면 내외 금리차가 줄면서 자본이 빠져나갈 가능성도 염려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 총재는 "금리를 결정하는데 어느 하나만 보는 게 아니라"며 "경기와 가계부채, 자본 이탈 가능성 등을 놓고 어느쪽이 우선인지 살펴볼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 총재의 이같은 발언은 금리 정책의 원칙을 언급하면서도 정부의 금리 인하 압박 분위기와 이로 인한 한은의 독립성 훼손 논란 등을 의식한 측면도 있는 것으로 보인다.

이 총재는 지난 7일 국정 감사에서도 금리 인하가 경제 성장에 미치는 효과는 미약할 것이라고 말하는 등 금리 인하에 신중한 입장을 나타냈었다.

한편, 이 총재는 올해 우리나라 경제 성장률 전망치를 3% 중반대가 될 것으로 내다봤다. 그는 "1분기 3.9%에서 2분기 3.5%로 떨어졌고 4분기 상황도 쉽지 않을 것"이라면서 "IMF가 제시한 성장률 전망치(3.7%)에 미치지 못할 것 같다"고 말했다.

반면 최경환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이날 뉴욕 특파원들과 만나 올해 성장률이 "3% 아주 후반대"가 될 것이라며 낙관적으로 내다봤다.

실시간 랭킹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