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는 정부가 각종 자살 예방책을 내놓고 있지만 전혀 실효를 거두지 못하고 있다는 점이다. 10년 전과 비교하면 자살률이 줄어들기는커녕 오히려 26.5%나 증가했다. 2012년에 다소 낮아지는 듯 했던 자살률은 지난해 다시 늘어나기 시작했다. 특히 지난해는 남자가 여자에 비해 자살 사망자가 2배 이상 많았고, 경제활동이 활발한 30대에서 50대의 자살 사망률이 눈에 띄게 늘었다. 자살은 10대와 20대, 30대 등 젊은 층의 사망원인 가운데 1위로 자리 잡고 있기도 하다.
가히 자살 공화국이라 해도 과언이 아닌 이런 현실은 우리 사회의 어두운 단면을 여과 없이 보여준다. 대책 없는 고령화 속에 노인빈곤의 악순환이 극단의 선택을 하게 만든다. 소수의 엘리트 육성에만 초점이 맞춰진 교육현장에서 밀려나 멍이 든 청소년들에 대한 도움의 손길은 요원하기만 하다. 급속한 경제발전과 성공신화의 이면에 심각한 양극화가 자리 잡고 있고, 극심한 경쟁체제에서 소수를 제외한 많은 이들을 패자와 낙오자로 낙인 찍어버리고 있다. 승자독식 체제가 만연되면서 소외된 이들의 고립감과 절망감은 더욱 증폭되고 있는 게 우리의 현실이다.
높은 자살률은 우리 사회를 비추는 거울이다. 소득수준이나 경제력 같은 계량화 된 수치만으로 한 국가의 건강성을 판단할 수는 없으며 진정한 선진국으로 나아가기도 어렵다. 캠페인만으로 자살률을 낮추기 어렵다는 것은 이미 통계로 드러났다. 범정부 차원의 특단의 대책을 통해 자살률 1위 국가라는 오명을 벗어나기 위한 총력전을 펼쳐야 한다. 사회안전망을 더욱 촘촘히 해 위기에 처한 이들을 구하기 위한 정신적 물질적 지원체제를 강화하고, 종교계와 의료계를 비롯한 민간기구의 적극적인 동참을 이끌어 낼 필요가 있다. 근본적으로는 누구에게나 기회가 열려있는 사회, 한 번의 실패가 모든 것을 좌우하는 것이 아닌 무한한 가능성 있는 체제를 만들어 가는 노력이 절실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