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J·SK 총수 없어도 주가 뛰는 이유는…

현대차 주가 폭락과 대조적

회장들이 사법처리중인 CJ·SK 그룹 주가는 크게 뛰고 총수가 과감한 배팅결단을 한 현대차는 오히려 주가가 폭락해 대조를 보이고 있다.

CJ·SK 그룹 주가가 10대그룹 중 가장 많이 오른 이유는 뭘까?

재벌닷컴에 따르면 CJ그룹의 올해 시가총액 증가율은 무려 31.76%로 1위를 차지했다.

SK그룹은 시가총액 증가율이 14.36%로 뒤를 이었다.

CJ그룹 시총은 지난해 말 16조822억원에서 지난 19일 현재 21조1천902억원으로 5조1천80억원이나 늘어났다.

이는 CJ 주가가 53.39%, CJ대한통운이 59.50%, CJ E&M이 58.20% 각각 급등하는 등 9개 상장사 중 7개 상장사 주가가 크게 치솟았기 때문이다.

SK그룹 시총도 같은 기간 80조8천723억원에서 92조4천896억원으로 11조6천173억원 늘었다.

효자 계열사인 SK하이닉스 주가가 21.83%, SK텔레콤이 27.17% 각각 오르면서 그룹 전체 시총이 느는데 톡톡히 기여했다.


같은 기간 10대 그룹 전체 시총이 3.11%(23조1천880억원) 줄어든 것과 비교해 어려운 경제환경속에서 두 재벌그룹이 크게 약진한 것이다.

반면 정몽구 회장 주도로 삼성동 한전부지에 10조5천500억원을 거액 배팅한 것은 오히려 증시에서 싸늘한 반응으로 나타나 총수의 의사결정이 얼마나 중요한 지 다시금 보여준 좋은 사례가 됐다.

한전부지 낙찰 결정이 있었던 지난 18일 현대차·기아차·현대모비스 ‘3총사’ 시총이 8조4천118억원이나 증발해버려 현대차그룹 시총은 올해 6.28%, 9조1천420억원 감소라는 나락으로 추락했다.

(왼쪽부터) 이재현 CJ그룹 회장, 최태원 SK그룹 회장
◈ 총수부재에도 전문경영인들 제역할 중요

CJ, SK그룹 회장들은 나란히 사법처리돼 모두 경영에 참여가 불가능한 상태다.

이재현 CJ그룹 회장은 지난 2월 1심에서 횡령 등 혐의로 징역 4년의 실형을 선고받은 이후 현재까지 구속은 면했지만 건강이 크게 악화돼 경영에는 거의 참여하지 못하고 있다.

최태원 SK그룹 회장은 지난해 1월 1심에서 횡령 등 혐의로 징역 4년의 실형을 선고받고 법정구속된 뒤 수감생활한지 현재 1년 9개월 됐다.

이들 그룹은 총수의 사법처리가 그룹 경영은 물론 국가경제에 미치는 어려움이 적지 않다며 선처를 호소했지만 총수의 공백이 일단 증시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대해 증시주변에서는 ‘전문 경영인 역할론’을 주장해 눈길을 끈다.

여의도 한 증권사 애널리스트는 “총수가 없어도 대기업은 굴러가고 특히 전문경영인들이 충분한 역할을 한다”며 “다만 굵직한 사업이나 투자 결정 등은 아무래도 총수의 역할이 클 수 밖에 없다”고 말했다.

하지만 이번 현대차그룹의 한전부지 매입은 총수의 과감한 의사결정이 주주들의 공감을 사지 못해 증시에서 외면당한 경우로 꼽힌다.

정선섭 재벌닷컴 대표는 "총수 1인의 의사결정이 그룹에 얼마나 중요한 것인지를 그대로 보여준 사례"라며 "사업이 성공할지 여부는 지켜봐야 하겠지만 주주들의 마음을 사지 못한 증거가 주가폭락으로 나타난 것“이라고 설명했다.

실시간 랭킹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