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남 기다리다 숨진 이산가족 상봉신청자 6만명 넘어

추석 상봉 기대도 '물거품'…올해 2천500여명 숨져

북녘의 피붙이를 만나겠다고 이산가족 상봉을 신청한 실향민 중 절반에 가까운 6만여명이 끝내 소망을 이루지 못한 채 한 많은 생을 마감한 것으로 7일 집계됐다.

통일부에 따르면 지난달 31일을 기준으로 이산가족 상봉 신청자 12만9천575명 중 46.5%인 6만312명이 숨진 것으로 파악됐다.


지난해 12월 말 조사 때까지 5만7천784명이던 이산가족 사망자가 8개월 동안 2천528명이나 늘어난 것이다.

지금까지 이뤄진 상봉 행사에서 남북의 이산가족 3천94가족만이 재회했다는 점을 고려하면 사망자 대부분이 북측 가족을 만나보지 못하고 눈을 감은 셈이 된다.

이런 추세대로라면 내년 상반기가 되면 상봉신청을 한 전체 실향민 중 생존자보다 사망자가 더욱 많아질 될 전망이다.

상봉 신청을 하고 현재 대기중인 생존 실향민 중 90세 이상이 10.4%(7천186명), 80대가 41.3%(2만8천568명), 70대가 29.1%(2만201명)로 고령자 비율이 높다.

따라서 지금과 같은 비정기적 상봉 행사만으로는 이산가족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 근본적으로 불가능한 실정이다.

현대경제연구원은 연초 발간한 보고서에서 이산가족의 기대 여명을 볼 때 생존자들이 한 번이라도 북쪽 가족을 만나려면 상봉 규모를 매년 6천600명 이상으로 늘려야 한다고 추산했다.

그러나 이산가족 상봉 문제를 풀 실마리는 아직 보이지 않는 상태다.

2000년 6·15 정상회담 이후 매년 한두 차례 이어지던 이산가족 상봉 행사는 2010년 천안함·연평도 사태로 남북관계가 긴 경색기에 접어들면서 중단됐다.

올해 초 남북 사이에 짧은 유화 국면이 형성되면서 지난 2월 3년여 만에 이산가족 상봉 행사가 열렸지만 우리 정부가 최근 제기한 추석 계기 상봉은 북한의 호응이 없어 사실상 물 건너간 분위기다.

이산가족 문제 해결이 지지부진한 것은 일차적으로 이 문제를 대남 압박의 지렛대로 삼는 경향이 있는 북한에 있다는 것이 대체적인 인식이다.

그럼에도 정부가 시간이 촉박한 이산가족 문제의 해결에 더욱 적극적인 자세를 보일 필요가 있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정성장 세종연구소 수석연구위원은 "북한이 남북 간의 경제적 격차 때문에 이산가족 상봉 문제에 부담감을 갖고 있다"며 "도덕적 차원의 요구를 넘어 남북관계 개선의 큰 틀에서 북한에 일정한 유인책을 줘 가면서 서로 주고받기를 추구하는 것이 현실적"이라고 말했다.

실시간 랭킹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