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근리국제평화재단은 25일 발행된 이 신문 A16면에 정 회장의 생애와 '노근리사건'을 소개하는 3단짜리 특집기사가 그의 생전 활동사진과 함께 실렸다고 28일 밝혔다.
사건 현장에서 장남(당시 5세)과 딸(당시 2세)을 잃은 그는 평생 이 사건의 진실을 파헤치는 데 힘쓰다가 지난 1일 향년 91세로 별세했다.
1994년 이 사건을 담은 실화소설 '그대, 우리의 아픔을 아는가'를 펴내 그때까지 알려지지 않았던 사건의 실체를 세상 밖으로 내놓은 장본인이다.
그 뒤 희생자대책위원회 대표를 맡으면서 한미 양국의 합동조사에 이어 당시 빌 클린턴 미국 대통령의 유감 표명도 이끌어냈다.
그의 노력에 힘입어 정부는 2004년 '노근리사건 희생자 심사 및 명예회복에 관한 특별법'을 제정하고, 2011년 사건 현장 부근에 노근리평화공원(13만2천240㎡)을 조성했다.
노근리국제평화재단의 한 관계자는 "뉴욕타임즈가 미군이 관련된 사건의 실체를 파헤친 개인의 부고에 지면을 할애한 것은 매우 이례적인 일로, 노근리사건이 지니는 역사적 의미가 반영된 것"이라고 평했다.
'노근리사건'은 1950년 7월 25∼29일 영동군 황간면 노근리의 경부선철도 쌍굴에서 미군이 피란민 대열에 공중 공격과 기관총 사격을 가한 사건이다.
정부는 2005년 유족 등의 신고를 받아 사망 150명, 행방불명 13명, 후유장애 63명 등 226명을 피해자로 확정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