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HO, '시험단계' 에볼라 치료제 사용허가(종합2보)

"특수한 상황서 검증 안 된 치료제 제공 윤리적…치료가능성 평가 의무"

세계보건기구(WHO)는 12일(현지시간) 시험단계인 에볼라 바이러스 치료제의 사용을 허가한다고 밝혔다.


WHO는 이날 성명을 통해 "의료 윤리위원회는 에볼라 발병과 같은 특수한 상황에서 일정한 조건이 맞는다면 아직 치료나 예방에 있어, 그 효과나 부작용 등이 밝혀지지 않았더라도 시험단계의 치료제를 제공하는 것이 윤리적이라는데 의견을 모았다"면서 이에 따라 시험단계의 에볼라 바이러스 치료제의 사용을 권고한다고 말했다.

의료 윤리위원회는 또 시험단계 치료제가 아직 검증이 안 됐지만 (에볼라 발병과 같은) 특별한 상황에서 의학적 치료 가능성을 평가해볼 도덕적 의무도 있다면서 치료를 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모든 자료를 공유하고 취합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의료 윤리위원회는 아울러 시험단계 에볼라 치료제의 사용을 허용함에 있어 치료 과정의 투명성, 환자의 사전 동의, 선택의 자유, 익명성, 환자에 대한 존중, 인간 존엄성의 유지, 지역사회의 기여 등이 반드시 수반돼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와 함께 안전성과 효과를 알 수 있도록 병원 밖에서 시행하는 특별한 투약을 포함해 모든 치료 과정에서 나오는 모든 정보가 수집되고 공유돼야 하며 앞으로 나올 새로운 치료약 개발에 도움이 돼야한다고 지적했다.

의료 윤리위는 그러나 △적절한 치료를 제공하면서 관련 정보를 수집할 수 있는 윤리적 방법 △검증되지 않은 치료제나 백신을 사용하는 데 있어 우선권을 부여할 윤리적 기준 △절대적으로 공급이 부족한 상황에서 공정한 배분을 할 수 있는 윤리적 기준 등에 대해서는 추가적 분석과 논의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WHO는 이에 따라 이달 말께 의료 윤리위원회를 다시 열어 이런 문제들에 대해 의견을 수렴할 계획이다.

WHO 사무부총장인 마리 폴 키에니 박사는 이날 브리핑을 통해 "에볼라는 기본적으로 가난한 사람들이 걸리는 질병이라서 '시장의 실패'를 경험했고 결과적으로 치료제가 없는 상황"이라면서 "우리는 현재 사용 가능한 정확한 시험용 치료제의 숫자를 모르며 시험용 치료제 사용으로 에볼라를 치료할 수 있게 됐다는 잘못된 희망을 줘서는 안 된다"고 말했다.

그는 또 "WHO는 누가 어느 시점에 어떤 시험용 치료제를 얻게 되는지에 대해 관여하지 않는다"면서 "이달 말 시험용 치료제에 대한 의료 윤리위원회를 또다시 열어 이용 가능한 시험용 치료제 등에 대해 논의할 것"이라고 말했다.

시험단계의 에볼라 치료제 '지맵'(Zmapp)을 개발한 미국의 제약사는 WHO의 결정과는 별도로 이미 미국 식품의약국(FDA) 승인을 받아 나이지리아와 라이베리아 의료진에게 지맵을 이번 주 내로 공급하기로 한 상태이다.

한편 WHO는 9일 현재 에볼라 바이러스 감염자 수는 총 1천848건, 사망자는 1천13명이라고 공식 발표했다.

국가별로는 기니가 506명 감염에 373명 사망으로 가장 많고 그 뒤를 이어 라이베리아 599명 감염에 323명 사망, 시에라리온 730명 감염에 315명 사망, 나이지리아 13명 감염에 2명 사망 등의 순이다.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