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피아란 관료+마피아, 즉 관료(고급 관리) 출신 공무원이 퇴직 후 산하 공공기관이나 협회 등에 재취업해 요직을 독점하는 것을 비하해 이르는 신조어로 대기업 그룹의 '바람막이'용 사외이사 선호도는 계속 높아진 것으로 조사됐다.
CEO스코어에 따르면 재벌그룹 49개의 계열사 238개의 1분기 보고서를 중심으로 사외이사 출신 이력을 조사한 결과 총 750명의 사외이사 중 36.9%인 277명이 관료 출신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지난해와 비교해 전체적으로는 7명 줄었지만 관료 출신은 268명에서 9명이 늘어 관피아는 35.4%에서 1.5% 포인트 상승했다.
학계와 재계 출신 사외이사는 381명에서 367명으로 14명 줄었는데 그 빈자리를 관료 출신 인사들이 고스란히 차지한 셈이다.
특히 검찰·법원 등 법조계와 국세청·관세청 등 세무당국, 공정거래위원회, 감사원 등 소위 4대 권력기관 출신 인사는 165명에서 173명으로 늘었다.
전체 관료출신 사외이사 중에서 이들 인사가 차지하는 비중도 61.6%에서 62.5%로 높아졌다.
법조 출신 인사가 84명으로 가장 많고, 세무 50명, 공정위 24명, 감사원 15명 순이었고 올 들어 법조 출신 사외이사는 4명 줄어든 대신 세무당국 출신이 8명, 감사원 출신이 3명 늘어난 점이 눈에 띄었다.
◈ 검찰총장, 장관 등 고위직 사외이사 대거 포진
검찰총장을 지낸 인사로는 두산엔진 정구영(23대 검찰총장), 금호산업 김도언(26대), 삼성전자 송광수(33대), CJ오쇼핑 김종빈(34대) 사외이사가 비중있는 인물들이다.
삼성생명보험 박봉흠(기획재정부), 삼성증권 김성진(해양수산부), SK C&C 이환균(국토교통부), SK이노베이션 김영주(산업통상자원부), GS 이귀남(법무부), KT 김종구(법무부), CJ대한통운 이기호(고용노동부), 고려아연 이규용(환경부), 코오롱인더스트리 김성호(보건복지부), 삼천리 곽결호(환경부) 등은 모두 장관직을 거쳤다.
거센 '관피아' 역풍에도 대기업들이 관료 출신들을 대거 사외이사로 영입하는 이유는 조사·감독·수사 등 사정작업이나 각종 규제 등 공권력에 대한 방어 수단으로 활용하려는 의도 때문이라고 CEO스코어는 분석했다.
사외이사는 대주주 일가의 독단경영과 전횡을 차단하기 위해 도입한 제도지만 기업이 오히려 외풍을 막는 '바람막이'로 악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신세계그룹 사외이사 100%25 관피아
그룹별로는 신세계의 관료 출신 사외이사 비중이 가장 높았으며 7개 상장사 17명의 사외이사 중 무려 82.4%인 14명이 관료 출신 인사였다.
신세계그룹은 신세계, 이마트, 신세계아이앤씨, 신세계푸드 등 전체 상장사의 절반이 넘는 4곳에서 관료 출신 사외이사 비중이 100%를 보였다.
영풍그룹에선 13명의 사외이사 중 9명(69.2%)이 관료 출신 인사였고 현대산업개발(66.7%), 롯데(65.5%), 동국제강(63.2%), CJ(60.7%) 등이 뒤를 이었다.
현대자동차, 한국타이어, 세아, 삼천리는 관료 출신 사외이사가 절반을 차지했고 두산(48%), OCI(46.7%), 현대(46.2%), SK(44.8%), 효성(42.9%), 현대중공업(40%), 아모레퍼시픽(40%), 태영(37.5%)도 평균보다 높은 비중을 기록했다.
반면 하이트진로, 이랜드, 미래에셋, 대우조선해양은 관료 출신 사외이사가 한 명도 없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