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FBI "비행금지명단 올린다"압박해 무슬림정보원 포섭

미국 연방수사국(FBI)이 무슬림 영주권자나 시민권자를 정보원으로 포섭하면서 비행금지 명단을 압박수단으로 활용한 것으로 드러났다.


미국 일간 워싱턴포스트(WP)는 헌법권리센터(CCR) 등 2개 단체가 22일(현지시간) 무슬림 4명을 대리해 뉴욕의 연방법원에 제기한 소송에서 이 같은 사실이 밝혀졌다고 보도했다.

미국 영주권자로 뉴욕에 사는 아와이스 사자드는 시민권을 줄 테니 정보원이 되라는 요구를 거절하자 FBI가 자신을 비행금지 명단에 묶어두며 압력을 가했다고 주장했다.

나머지 3명도 뉴저지와 네브래스카 등 거주지역에서 무슬림 사회의 첩자로 활동해 달라는 FBI의 제안에 응하지 않았다가 비행금지 명단에 오르거나 유지됐다고 주장하고 있다.

2001년 9·11 테러 이후 만들어진 미국의 비행금지 명단에는 외국인은 물론 미국 시민권자와 영주권자 등 수천 명이 올라 있다.

2007년 법무부는 감사를 통해 감시대상 명단 관리에 허점이 있다고 지적하면서 정확성을 기하라고 촉구하기도 했다.

램지 카셈 뉴욕시립대 법학 교수는 "비행금지 명단은 항공 안전을 보장하기 위한 것인데 FBI는 무고한 사람을 정보원으로 만드는 데 부당하게 활용했다"고 지적했다.

미국시민자유연맹(ACLU)도 2010년 FBI가 샌프란시스코에 사는 무슬림 시민권자를 압박해 정보원으로 포섭하려 했다며 소송을 제기했고 곧 판결이 나올 예정이다.

추천기사

실시간 랭킹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