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은 한국이 '한강의 기적'을 일구며 경제면에서 선진국의 지위를 구축했지만 1990년대 백화점과 교각 붕괴, 올 들어 발생한 리조트 지붕 붕괴와 세월호 침몰 등 대형사고가 많았다고 소개했다.
그러면서 사설은 "(한국사회에) 효율과 이익을 우선시하는 방심과 자만은 없었는가. 성장과 경쟁의 논리가 꾸준한 안전대책 축적을 뒷전으로 미루게 하는 풍조는 없었나"라고 꼬집었다.
사설은 또 "일상의 업무규칙 준수, 장비 및 시설의 철저한 점검, 사고를 상정한 피난 및 구조 훈련 등은 어느 업계에나 통용되는 기본 원칙"이라며 "아무리 기술이 진보해도 안전의 최후를 지키는 것은 사람의 의식"이라고 강조했다.
사설은 이어 "비극을 막기 위해 일상의 안전을 끊임없이 재점검하자"며 "이웃국가의 사고를 그런 타산지석으로 삼고 싶다"고 부연했다.
블룸버그통신의 유명 칼럼니스트인 윌리엄 페섹도 세월호 참사는 빠른 경제성장에만 집착하며 '내실'을 소홀히 해온 한국 사회에 자성의 계기가 돼야 한다고 지적했다.
페섹은 21일(현지시간) 칼럼에서 "세월호의 비극은 한국 정치·기업 문화의 사각지대를 돌아보라는 '경종'(wakeup call)"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페섹은 "위기 상황에서 정부기관이 삼류로 드러난다면 경제가 일류인 것은 의미가 없다"며 "고속성장이 한국인들을 더 행복하게 만들었느냐"고 질문했다.
그는 한국은 단기간의 놀랄만한 경제성장을 전매특허처럼 삼지만 세월호 사건으로 이면의 허점이 드러났다며 이번 사고가 "경제 급성장을 국가 성공의 핵심 잣대로 측정하는 것의 한계를 보여주는 실례"라고 지적했다.
그는 "박근혜 대통령이 자주 입에 올리는 '안전' 원칙' '책임' 같은 그럴 듯한 말들이 이번 위기에서는 모두 대단히 결핍됐던 것으로 보인다"며 한국 정부가 이런 문제에 대해 경제적 성공을 따라잡아야 할 때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