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일 제주해경으로부터 전화를 받았다는 단원고 교사 A씨와 동료교사 B씨, 경기도교육청 등에 따르면, 단원고 A교사는 사고 당일인 16일 오전 8시 10분쯤 교무실로 걸려온 전화를 받았다. 전화를 건 쪽에서는 '제주해경'이라고 신원을 밝히면서 세월호에 승선한 교사의 휴대전화 번호를 물었다. "'세월호와 연락이 안돼서 그러니 제주에 도착하는 선생님 중 한 분의 전화번호를 알려달라'는 내용이었다"는 게 동료교사 B씨가 A교사로부터 들었다는 통화내용이다.
A교사는 승선해있던 한 교사의 번호를 알려줬지만 2~3분 뒤 학교로 다시 전화가 걸려왔다. 수화기 건너편에서는 ”알려준 교사가 전화를 받지 않는다"면서 "다른 번호를 알려달라"고 했다. A교사는 또다른 교사의 연락처를 불러줬다고 한다. B교사는 “(해경이) 사고 조짐을 미리 감지했는지는 모르겠다. 단지 배에 탄 사람들이 연락이 안 된다고 해서 (승선한) 선생님의 전화번호만 알려준 것 같다"고 말했다.
제주해경과 학교 사이 오간 전화통화 기록은 단원고 사고 현황판에도 ‘08:10 제주 해경→배와 연락 안 됨→학교로 전화연락’이라는 내용으로 남아있다. 사고 현황판에는 또 구조된 뒤 스스로 목숨을 끊은 교감 강모씨가 당일 오전 8시 50분쯤 학교 측에 상황보고를 한 사실 등이 적혀 있기도 하다.
이를 놓고 세월호 침몰신고 40여분 전부터 제주해경이 사고 가능성을 알고 다급하게 세월호 탑승객과 연락을 취하려 했던 것 아니였냐는 주장이 나온다. 세월호가 제주 해상교통관제센터(VTS)와 해경에 조난 신고를 접수한 건 오전 8시 55분과 8시 58분쯤이다.
A교사는 CBS노컷뉴스와의 전화통화에서 ‘8시 10분쯤 제주해경으로부터 전화를 받았느냐’는 취재진의 질문에 "맞다"고 답했지만 “경기도교육청에 다 이야기를 했다”면서 구체적인 답변을 삼갔다.
경기도교육청은 "사고 당일인 지난 16일 오전 8시 10분쯤 해경 관계자와 통화했다는 사실을 단원고 관계자로부터 확인했다"면서 "전화는 학교 측 유선전화로 걸려왔다. ‘배와 연락되지 않는다’는 게 해경이 학교 측에 전달한 사항”이라고 설명했다.
이에 대해 제주해경은 단원고 측과의 통과 사실을 부인했다. 제주해경 관계자는 "통화를 했다는 사람을 찾지 못했다"고 설명했다. 합동수사본부는 이와 관련해 통신기록조회 등 조사를 벌이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