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가 가라앉고 있다"는 조난 신고가 목포해경에 접수된 건 지난 16일 오전 8시 58분.
여객선이 완전히 가라앉은 것은 이날 오전 11시 30분쯤이다.
사고 발생 당시 '전원구조'라는 말이 나올 만큼 희망적이던 구조작업은 2시간 만에 절망으로 바뀌었다.
도대체 무슨 일이 있었던 걸까.
먼저, 선사 측의 안이한 대응이 집중적으로 도마에 오르고 있다.
"밖으로 나가지 말고 현재 위치에서 대기하라"는 방송을 내보내 많은 탑승객이 30분가량 대피하지 않고 있었다는 것이다.
실제로 구조된 안산 단원고 학생이 휴대전화로 촬영한 동영상에는 배가 점점 기울어지는데도 학생들이 선실 내에 구명조끼를 착용한 채 가만히 대기하거나 위태롭게 앉아 있던 모습이 담겨 있다.
세월호 2층 객실에 있다가 침몰 직전 구조된 김 모(59) 씨는 "쿵 소리와 함께 배가 왼쪽으로 기울기 시작했다"며 "이후 '밖으로 나오면 위험하니 객실에 앉아 있으라'는 안내방송이 나왔다"고 말했다.
김 씨는 "한 20~30분 후에 '구명조끼를 입으라'는 안내방송이 추가로 나왔지만, 구명조끼가 어디에 있는지는 방송하지 않았다"고 설명했다.
김 씨는 이어 "제가 있던 2층 객실에 구명조끼 20개가 있어 다행히 나눠 입고 구조됐다"며 "대부분의 사람은 구명조끼를 입지 못했다"고 덧붙였다.
지체된 대피는 뒤늦은 탈출마저 어렵게 했다.
배가 기울어진 상태에서 문을 열자 물이 들어와 빠져나오지 못했거나 여객선의 통로가 굉장히 좁고 복잡해 공황 상태에 빠졌을 어린 학생들이 우왕좌왕하는 동안 갇혀버렸을 가능성도 크다.
최초 사건 신고도 승무원이 아닌 단원고 학생의 연락을 받은 가족이 한 것으로 확인되면서 혼란스러운 상태에서 승무원들이 정확한 대피령을 내리지 않았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김 씨는 "구조될 때까지 배에서 선원이나 선사 직원은 전혀 보지 못했다"며 "승객 대부분이 발만 동동 굴렀다"고 전했다.
"구명조끼가 어디에 있으니 빨리 입고 갑판으로 나가라는 말만 했어도 많은 사람이 구조됐을 것"이라고 김씨는 안타까워했다.
구조된 뒤 목포해양병원으로 후송된 서 모(54) 씨도 "배가 왼쪽으로 기울자 '가만있으라'는 안내방송이 나왔고, 그로부터 약 30분 뒤에 '구명조끼를 착용하라'는 방송이 추가로 나왔다"고 말했다.
서 씨 역시 "여객선에서 미리 대피하라고 '양심선언'을 했으면 학생들도 좀 더 먼저 피할 수 있었다"며 "특히 식당에서 밥을 먹으려고 줄 서 있던 학생들은 구명조끼도 없이 사고를 당했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