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 대표의 방미는 한·미·일이 6자회담 재개의 조건을 완화할 가능성을 시사한 가운데 이뤄지는 것이어서 장기 교착상태에 빠졌던 6자회담 재개 흐름에 돌파구가 열릴 지 주목된다.
복수의 워싱턴 외교소식통은 9일(현지시간) "우 대표가 조만간 워싱턴을 방문하겠다는 뜻을 갖고 있으며 미국 측도 이를 희망하는 것으로 안다"며 "방북결과 설명과 함께 6자회담 재개방안에 대해 심도깊게 협의할 것"이라고 말했다.
우 대표는 지난달 17일부터 21일까지 평양을 다녀왔으나 아직 방북 결과를 관련국들에게 구체적으로 설명하지 않은 상태다.
이에 따라 우 대표는 미국에 방북결과를 설명하는 형식으로 북·미간의 입장을 절충한 모종의 중재안을 제시하고 6자회담 재개 방안을 구체적으로 협의할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한·미·일이 그동안 6자회담 재개조건으로 북한에 요구해온 비핵화 사전조치를 유연성있게 적용할 수 있다는 입장을 정리하면서 중국 측의 중재역할이 더욱 주목받고 있다는 소식통들은 전했다.
한·미·일은 지난해 무산된 2·29 합의 당시 북한에 식량(영양) 지원 대가로 요구했던 비핵화 조치 이상의 '플러스 알파'를 사전조치로 요구해왔으나 북한은 6자회담 재개 이후에 해당조치를 취할 수 있다는 입장을 보여왔다.
한·미·일이 거론하고 있는 사전조치는 ▲장거리 미사일 발사와 핵실험 ▲우라늄 농축활동을 포함하는 영변 핵 활동 유예(모라토리엄)'의 약속 ▲국제원자력기구(IAEA) 사찰단의 복귀 등이다.
이에 따라 중국은 사전조치의 이행시점을 재조정해 6자회담 재개와 동시에 또는 재개 직후에 단계적으로 조치를 취하는 쪽으로 중재안을 마련해 이를 미국 측에 제시할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이와 관련해 정부 고위당국자는 8일(현지시간) 워싱턴 특파원들과의 간담회에서 "북한에 요구해온 비핵화 사전조치가 무엇을 뜻하는 것인지에 대해서는 조금 더 유연성을 갖고 생각하고 있다"며 "북한이 비핵화의 진정성을 언제, 어떤 행동으로 보여줘야 하는 것인지도 논의의 대상이 될 수 있다"고 말했다.
일부 외교소식통들은 이달말로 예정된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의 한국과 일본 방문을 전후해 북한이 '새로운 형태의 핵실험' 등 추가 도발을 하느냐 여부가 국면을 좌우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한편, 우리 측 6자회담 수석대표인 황준국 한반도평화교섭본부장은 이른 시일 내에 신임 인사차 중국 베이징(北京)을 방문해 한·미·일 회담결과와 우리 측의 6자회담 재개 방안을 설명할 것으로 예상된다.